인천, 7월부터 직행‧급행 포함 모든 광역버스 준공영제

직행·급행 포함 24개 노선에 적용
배차 간격 축소… 교통 편의 증가

image
인천시가 오는 7월부터 광역버스는 물론 광역급행버스(M버스)까지 모두 준공영제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M버스 모습. 경기일보DB

 

인천에서 오는 7월부터 현행 광역직행버스는 물론 광역급행버스(M버스)까지 모두 준공영제로 전환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출·퇴근 시간대 광역버스 배차 간격이 줄어드는 동시에 운행대수도 늘어나면서 교통 편의가 높아질 전망이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방안 연구용역’의 최종보고회를 마치고 광역버스 회사 업체 9곳과의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의 광역버스 중 공항을 오가는 6770버스를 제외하고, 24개 노선을 모두 준공영제 적용을 받을 예정이다. 준공영제란 시민들이 이용하는 버스를 공공재라는 인식으로 버스 업체의 적자 손실분을 시가 메워주는 제도다.

 

시는 이번 광역버스의 준공영제 적용으로 업체의 운송 적자를 보전하는 동시에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광역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동안 광역버스 업체들은 운송 손실과 기사 수급의 어려움을 이유로 배차 간격을 늘리고, 운행대수를 줄여 서울로 출퇴근 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컸다.

 

우선 시는 이번 용역 결과에 따라 광역버스 1대 당 표준운송원가를 83만원으로 책정하고, 전체 면허대수 306대수 중 운행대수 181대에 대해서 적용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시는 광역버스의 노선 길이와 통행료, 유류비 등을 산정했을 때 시내버스의 표준운송원가인 1대당 41만원 보다 배 이상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시는 당초 광역버스 준공영제 대상 노선 중 M버스를 제외하기로 한 것을 철회, 최대한 많은 시민들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M버스도 준공영제에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1차 추가경정예산 광역버스 준공영제 예산으로 약 260억원의 반영을 계획하고 있다.

 

다만, 광역버스 준공영제 확대로 인한 시의 예산 부담은 풀어야 할 숙제다. 광역버스 준공영제 적용에 따라 운행대수가 늘어날 경우 필연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 예산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가 지난 2010년 446억원으로 시작한 시내버스 준공영제 예산이 지난 2023년기준 약 2천800억원으로 6배 이상 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시는 내년까지 M버스에 대한 준공영제 국비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의 협의에 나설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광역버스 업체의 적자 등으로 시민들이 버스 이용에 불편이 컸다”며 “준공영제 추진을 통해 배차간격과 운행대수 등이 정상적 운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예산 부담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비 지원 등 다방면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