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결혼이민자 자립 역량 강화에도 앞장…은퇴기에 따른 소득보장 지원

인천 남동구 시청 본관. 시 제공
인천 남동구 시청 본관. 시 제공

 

인천시가 결혼이민자들의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해 나선다.

 

16일 시에 따르면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6개 군·구 가족센터에서 결혼이민자 특화 직업 교육 훈련 과정을 운영한다. 시는 결혼이민자의 거주 기간이 늘어나면서 취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결혼이민자를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는 결혼이민자 중 10년 이상 장기 정착자 비율은 2018년 60.6%에서 2021년 68.5%로 소폭 증가했다. 또 결혼이민자의 배우자들이 은퇴에 다다르면서 소득보장, 노후보장, 학령기 자녀양육을 위한 취업 수요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우선 시는 가족센터를 통해 한국어와 취업을 위한 기본 소양 교육 등의 기초 교육을 추진한다. 맞춤형 직업교육훈련과 취업 연계까지 전 과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온라인 스토어, 피부미용교육, 온라인마케팅 크리에이터, 이중언어강사 취업준비, 영상 통·번역사, 이중언어강사 양성과정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시는 올해 4억3천만원을 들여 다문화가족 일자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다문화가족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 연계와 취업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자립 역량을 키우고, 사회·경제적 참여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18년 11월 가족센터의 일자리 전담 인력 배치를 통해 결혼이민자 일자리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이어 2019년에는 전문인력 배치를 7개 센터로 확대하고, 다문화 강사 양성 및 파견사업을 했다. 또 2021년에는 일자리 전담 인력과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확대했다.

 

시는 올해 거점센터와 8개 군·구 가족센터에 일자리 전담 인력을 배치, 결혼이민자 일자리 서비스를 지원하고 거점 및 중·동·남동구 등 3개 군·구에 취업역량 강화 교육과정을 운영할 방침이다.

 

윤현모 시 글로벌비즈니스협력단장은 “인천은 화교와 고려인, 외국인 유학생, 노동자 등 다양한 이주민이 사는 도시”라고 했다. 이어 “이주민을 위한 선도적인 정책으로 글로벌 국제도시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