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지원센터 월평균 부재중 전화 1천300여건 인력 태부족 대책 시급… 市 “하반기 충원 계획”
인천전세사기피해지원센터 전화 상담 부재중 건수가 월 평균 1천300여건에 이르는 등 피해자들의 상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충원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센터의 최근 8개월 동안 부재중 전화 건수가 9천여건이 넘는다. 1개월 평균 1천300여건의 전화가 상담을 받지 못하고 끊어지는 셈이다.
현재 인천센터에는 인천시 공무원 3명을 비롯해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직원, 법무사 등 모두 6명이 근무하고 있다. 상담 전화 1통 당 평균 20분씩 계산하면 인천센터의 1일 수용 가능 상담은 180건에 불과하다. 인천시는 이처럼 상담사가 부족하다보니 부재중 전화가 많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전세사기 피해자 등은 답답해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 본인 집의 경매 개시 등이 이뤄질 때 센터에 전화 상담을 하려하는데, 전화 연결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미추홀구 전세사기 피해자 A씨(25)는 “경매 개시 통보를 받고 여러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상담사 목소리도 못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1시간을 기다려 겨우 연결이 이뤄졌지만 고작 5분 동안 은행이나 HUG에 문의해보라는 말만 들었다”며 “해결책은 물론 전화 상담 조차 안되니 답답하다”고 말했다.
지역 안팎에선 인천에서 아직 전세사기 피해가 잇따르는 만큼, 이에 대한 인력 충원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대영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인천은 전세사기 피해지원 전담부서도 없고, 인력도 부족해 전화 상담이 이뤄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상담 내용의 전문성도 떨어진다”라고 말했다. 이어 “피해자들의 인생이 달린 만큼, 시에서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기도는 전세사기 피해지원 전담 부서를 운영하고 있으며,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위탁 운영하는 전세피해지원센터에는 23명의 인력이 파견해있다. 인천보다 전세사기 피해 규모가 적은 부산시, 대전시 등도 피해지원 전담 부서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상담 인력 1명을 충원할 계획”이라며 “특별법 종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라 전담조직 신설은 면밀히 검토해봐야 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