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정주여건 갖춰지면 비수도권도 좋아”

비수도권 거주 고려 요인... ‘정주여건’ 다음으로 ‘연봉’ 꼽아

#1. 비수도권 출신으로 서울에서 인턴 생활을 하고 있는 A씨(33)는 "여러 가지 이유로 상경했지만 수도권은 복잡하고 불편한 점도 많다. 적성에 맞는 일자리와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는 문화‧편의시설이 지방에도 갖춰진다면 언제라도 귀향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2. 수도권에서 태어나고 자란 B씨(27)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수도권 수준의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면 비수도권에 거주할 의사가 있다"며 "쇼핑몰, 영화관, 스포츠 등 소비와 여가생활이 가능한 도심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만 있다면 복잡하고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에서 꼭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일명 'MZ세대'가 살고 싶어하는 도시는 교통‧주거환경‧편의시설 등 정주여건이 잘 갖춰져 있어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대한상의 소플(소통플랫폼)을 통해 전국 2030세대 600여명을 대상으로 ‘내가 살고 싶은 도시’를 조사한 결과, 비수도권 거주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수도권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주여건’이라는 응답이 41.2%로 1위로 꼽혔다.

 

이어서 ‘수도권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연봉의 일자리’(29.8%), ‘연봉과 정주여건 둘 다 충족해야’(26.6%), ‘잘 모르겠음’(2.0%) 순이었다. 생활여건 및 인프라가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무조건 수도권을 고집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다.

 

반대로 비수도권 2030에 한정해 수도권 이주 의향이 있는지 묻자 ‘의향이 있다’(36.5%), ‘의향이 없다’(38.6%), ‘잘 모르겠다’(24.9%)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응답한 2030을 대상으로 정주여건 중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비수도권에 남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복수 응답)에는 ‘대중교통 접근성과 편리성’이 50.9%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주거환경(주택 편의성, 녹지 등)’(46.9%) ▲‘의료 인프라‧서비스’(33.6%) ▲‘문화‧쇼핑 등 편의시설’(33.3%) ▲‘교육기관 수준’(23.6%)이 뒤따랐다.

 

내가 살고 싶은 지역 도시가 갖춰야 할 교통환경에 대해서는 ‘편의시설 등 주요 인프라가 집중된 도심과의 연결성 향상’(35.8%)이 ‘수도권과의 접근성 향상’(29.7%)보다 높게 집계됐다. 이어서는 ‘지역과 지역간 접근성 향상’(18.5%),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대’(16.0%)를 꼽았다.

 

전체적으로 수도권 선호도는 20대(44.6%)가 30대(38.9%)보다 높았고, 여성(43.8%)이 남성(39.7%)보다 높았다.

 

반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을 대상으로는 비수도권 이주 의향을 물었다. 이때 ‘의향이 있다’(31.7%), ‘의향이 없다’(45.7%), ‘잘 모르겠다’(22.6%) 등의 답변이 나왔다.

 

조성환 대한상의 지역경제팀장은 “이번 대한상의 소통플랫폼 조사는 2030세대가 기성세대의 인식과는 다르게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을 충족할 수 있다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굳이 구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지역정책의 방향도 이에 맞게 바뀌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수도권 집중 현상이 비수도권 지역의 약화·소멸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야기해왔다”며 “일할 사람과 소비자가 있다면 기업의 투자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지역에 미래 세대가 살고 싶어하는 정주환경을 세심하게 설계한다면 지역균형발전과 국가 성장잠재력 제고를 달성하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대한상의의 소통플랫폼 설문 조사는 지난달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됐다. 대상자는 1985~2004년 출생자 중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327명과, 1985~2004년 출생자 중 수도권에 거주하는 360명이다. 이때 지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에 따라 서울·인천·경기도를 수도권, 이외 지역을 비수도권으로 구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