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11월 지원협력위원회 발족... 연결성 강화·5개년 계획 발표 예정 동포웰컴센터·한상비즈니스센터... 역할·기능 확립도 풀어야할 숙제
인천이 재외동포청 유치에 따른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인천만의 재외동포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인천시가 재외동포청과 함께 하는 단편적 행사 개최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거버넌스를 마련해야 장기적으로 ‘재외동포 플랫폼 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다.
4일 재외동포청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인천시 재외동포 지원 협력에 관한 조례’를 제정,재외동포 지원 사업의 근거를 마련했다. 이와 함께 경제협력 양해각서(MOU)와 간담회 등 재외동포단체와 지속적인 협력을 모색했다. 시는 오는 11월 재외동포지원협력위원회를 발족해 재외동포와 인천의 연결성을 한층 강화하고, 재외동포 지원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시가 1회성 행사보다는 재외동포와의 거버넌스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종전의 재외동포 사업을 이어갈 것이 아니라 관련 전문기구와 재정기반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수한 인천연구원 경제사회연구부 연구위원은 “재외동포청 유치에 이어 토대를 구축하는 1단계를 넘어서 이제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어 “단순히 재외동포청 연계 행사 유치에서 나아가 지역에서 재외동포 관련 네트워크를 만들어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재외동포단체와 함께 인천만이 할 수 있는 사업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오는 10월 문을 여는 재외동포웰컴센터와 한상비즈니스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확립하는 것 역시 과제로 남았다.
김 연구위원은 “재외동포웰컴센터와 한상비즈니스센터는 재외동포들에게 단순히 관광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지역의 특성을 담은 네트워크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당분간은 시 담당부서 등에서 센터를 운영하더라도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나 인천상공회의소 등과 협력,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