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 "재테크 안 해"…'여윳돈 없어서' 1위

사람인 제공
사람인 제공

 

직장인 절반가량이 예·적금이나 주식 등의 '재테크' 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은 지난 4월9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직장인 3천365명을 대상으로 ‘재테크 현황’을 조사하고, 1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49.2%(1천654명)는 "현재 재테크를 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가장 큰 이유(복수응답)는 ‘여유 자금이 없어서’(56.4%)였고, 그 밖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22.4%) ▲원금 손실이 두려워서(17.3%) ▲상환해야 할 빚이 있어서(14%)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서(12.5%) ▲주변에 실패 사례가 많아서(9.8%) 등이 응답됐다.

 

여유자금이 없어서 재테크를 못하는 이들(933명)에게 만약 여유자금이 있다면 어떤 재테크를 하고 싶은지 물었더니, ‘부동산’(47.7%, 복수응답), ‘예·적금’(44.3%), ‘주식’(30.7%)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 외에 ‘펀드·채권’(9.4%), ‘암호화폐’(5.6%), ‘원자재·귀금속 등 현물’(4.5%) 등 답변도 있었다.

 

반면 전체 응답자의 50.8%(1천711명)는 "현재 재테크를 하고 있다"고 했는데, 연령대별로 보면 30대(53.2%), 40대(51.3%), 50대 이상(49%), 20대(47.2%)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기업 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 재직자는 10명 중 7명 이상(72.2%)이 재테크를 하고 있었으나 중견기업(58.5%)과 중소기업(52.1%)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현재 하고 있는 재테크는 ‘예·적금’(69.8%, 복수응답)이 1위였고, 근소한 차이로 ‘주식’(65.5%)이 뒤를 이었다. 재테크를 하는 직장인의 대부분은 ‘예·적금’과 ‘주식’에 투자하는 모습이었다. 기타 ‘부동산’(20.9%), ‘펀드·채권’(16.3%), ‘암호화폐’(13.3%), ‘원자재·귀금속 등 현물’(3.4%), ‘플랫폼 앱테크’(3%) 등 순이었다.

 

이들은 월수입의 평균 29.3%를 재테크에 활용하고 있었다. 월수입 300만원 직장인이라면, 90여만원을 투자하는 셈이다.

 

재테크의 목적은 ‘노후 자금 마련’(58.7%,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여유 자금 융통’(42.1%), ‘내 집 마련’(28.6%), ‘자식 또는 부모 부양’(9.2%), ‘결혼준비 ‘(8.6%), ‘가계 부양’(8.2%) 등 답변이 나왔다.

 

또한, 재테크를 하는 직장인의 절반 가량(49.3%)은 이를 통해 수익을 얻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얻은 수익률은 평균 43.1%로 집계됐다.

 

반대로 손해를 봤다는 응답은 18.7%였으며, 손실율은 평균 41.2%였다. 나머지 32%는 ‘본전을 지켰다’고 응답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