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대중교통 취약지역 ‘공공관리버스’ 20여대 운행

고양특례시가 대중교통 취약지역에서 운행할 공공관리버스. 고양특례시 제공
고양특례시가 대중교통 취약지역에서 운행할 공공관리버스. 고양특례시 제공

 

고양특례시가 대중교통 취약지역에 공공관리 버스 20여대를 운행한다.

 

광역버스 137대에 대해선 준공영제를 추진해 교통 편의를 증진한다.

 

17일 시에 따르면 대중교통 취약지역 주민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이르면 오는 8월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한다.

 

공공관리제는 시내버스 노선·운행 조정권을 시가 갖되 표준 원가에 미달하는 운송 수입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버스회사에 지원하는 제도다.

 

시는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조례안’이 조만간 시의회에서 의결되면 오는 8월부터 적자 노선 등의 20여대에 적용할 계획이다.

 

공공관리제가 시행되면 운수 종사자의 처우가 개선돼 버스 운행 중단이나 배차 간격 확대 등에 따른 주민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의 노선 편중을 막기 위해 운행 적자분을 지원해주는 준공영제 대상 버스를 연말까지 137대 추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버스와 전철의 원활한 환승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택지개발지구인 덕양구 지축·원흥·향동에 공영주차장도 조성한다.

 

한편 일정 금액을 충전하면 30일간 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하는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수혜 지역이 오는 11월부터 전철역 26곳으로 확대된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주민의 대중교통 편의 향상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