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저조’

市, 내년까지 17.7% 목표 불구 ‘주민수용성’ 난항… 백지화 전망

image
30일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과 인천시교육청 일부 건물 옥상에 태양광 발전 설비가 있다. 조병석기자

 

인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목표치 달성이 안갯속이다. 수소연료전지발전이나 해상풍력발전 등이 주민 반대로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30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계획을 마련하면서 목표치를 내년까지 17.7%, 2030년까지 35.7%로 정했다.

 

그러나 현재 인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지난해 내놓은 지난 2022년 말 기준 인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7.5%에 그친다. 시는 내부적으로 이 추세대로면 내년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계획은 지난해부터 아예 멈춰서 있다. 당초 연수구의 송도동 액화천연가스(LNG)기지에 100㎿급, 그리고 남동구 남동국가산업단지 등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을 추진했지만, 모두 주민 반대로 백지화했다.

 

image
제주 탐라해상풍력발전소 전경.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인천시 제공

 

인천 앞바다의 해상풍력도 마찬가지다. 해상풍력단지에 대한 정부의 인·허가를 받기 위해선 주민 수용성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인근 어민 등 주민들의 반발로 사업이 줄줄이 늦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오스테드가 1.6GW급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을 뿐, 나머지 공공주도형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은 전체적인 주민 보상 규모 등을 정하지 못하는 등 늦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비어있는 땅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겠다는 시의 계획도 차질을 빚고 있다. 최소 10년 이상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땅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설치한 태양광 발전 시설도 날씨 등의 영향으로 계획보다 실제 발전 용량은 낮다.

 

시 관계자는 “당초 계획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립에 대한 주민수용성 확보 과정이 오래 걸려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내년 상반기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치를 수정하고 보급 계획을 새로 만드는 용역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