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근로자들 “안전교육 전무”… 수사 착수

사측의 안전교육 미비 진술 확보⋯警, 압수물·전자정보 등 분석 속도
3년간 우수사업장 이면 드러나 …정부, 산재 보상금 지급 등 집중

화성시 서신면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를 수사 중인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지난 26일 아리셀과 인력공급 업체인 메이셀, 한신다이아 등 3개 업체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사진은 아리셀 공장의 위험물저장소를 살펴보는 경찰과 고용노동부 관계자들. 윤원규기자
화성시 서신면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를 수사 중인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지난 26일 아리셀과 인력공급 업체인 메이셀, 한신다이아 등 3개 업체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사진은 아리셀 공장의 위험물저장소를 살펴보는 경찰과 고용노동부 관계자들. 윤원규기자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아리셀 공장 근로자들의 “사측의 안전교육이 없었다”는 주장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경기남부경찰청 아리셀 화재 사고 수사본부는 화재 당일까지 아리셀 공장에서 일했던 근로자들의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한 번도 없고 비상구가 어디인지도 몰랐다”는 진술을 토대로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경찰은 화재발생 이후 현재까지 참고인 20여명을 불러 아리셀의 근로 체계, 안전 관리 등에 대한 전반을 조사했다.

 

경찰은 이 과정에서 사측의 안전교육이 미비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경찰은 지난 26일 아리셀 등에 대한 강제수사로 압수한 서류와 전자정보 등에 관한 분석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압수물 분석을 마치기까지는 2~3주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까지 박순관 아리셀 대표와 인력공급 메이셀 관계자 등 이번 화재로 입건된 피의자 5명에 대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경찰은 압수물 분석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박 대표 등 주요 피의자를 내주 소환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 중인 사안이므로 참고인 진술 내용 등에 관해서는 말해줄 수 없다”고 했다.

 

노동당국도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인 가운데 아리셀이 3년 연속 위험성평가 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된 사실도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실에 따르면 아리셀은 지난 2021년 2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위험성평가 우수사업장 인정 심사를 신청했고 인정 기준인 70점을 웃도는 81점을 받아 같은 달 우수사업장에 선정됐다.

 

이어 2022년과 2023년에 이뤄진 사후 심사에서도 각각 88점과 75점을 받아 지난 2월까지 3년간 우수사업장 자격을 유지했다.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이 스스로 유해·위험 요인을 찾고 개선하는 과정으로, 법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가 참여하는 위험성평가를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박 의원은 “위험성평가를 비롯해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시스템에 현장 노동자들의 의견이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30일 정부와 대통령실, 국민의힘 등으로 구성된 고위당정협의회를 개최하고 ▲유사 위험공장과 시설 점검 ▲비정규직 및 외국인 근로자 대상 화재 안전교육 ▲공장 건축물 마감재에 대한 내화성 강화방안 검토 ▲소방시설 기준 검토 등을 추진하고 사고 유족들에게 산업재해 보상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