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여정 "삐라 또 발견…대응 방식 변화 불가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14일 북한 국경지역에서 또다시 대북전단이 발견됐다며 대가를 각오해야 할 것이라는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와 함께 전단 추정 물체 소각 장면을 사진으로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지난 14일 북한 당국이 공개한 대북전단 소각 장면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대북전단(삐라)이 추가로 발견됐다며 "다시금 엄중히 경고한다. 처참하고 기막힌 대가를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앞서 김 부부장은 지난 14일에도 유사한 내용의 담화를 발표했고 북한 당국도 국경지대에 떨어진 대북 전단 사진과 이를 소각하는 사진도 공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 부부장은 1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우리 국가의 남쪽 국경과 일부 종심 지대에서는 대한민국 쓰레기들이 날린 대형 풍선 29개가 또 발견되였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철원군 10개, 신평군 8개, 이천군 5개, 판교군 4개, 곡산군 1개, 평강군 1개로 집계됐다”면서 "현재 전문기관에서 수색, 소거, 소각처리하고 있다"라고했다.

 

이어 "다른 여러 지역에서도 삐라장들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부장은 "많은 지역에서 해당 구역들이 봉쇄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인민들의 불편이 증대되고 있다"며 "더 이상 지켜봐 줄 수만은 없는 상황이 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부부장은 "한국 쓰레기들의 치졸하고 더러운 짓이 계속될 경우 우리의 대응 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제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부장이 담화에서 '대응 방식 변화'를 언급한 만큼 새로운 방식의 도발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은 지난 2014년 대북전단 살포에 대응, 고사총을 발사했었다.

 

최근 북한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응, 오물풍선을 남쪽으로 날려보냈다. 북한은 지난 5월 28일부터 지난달 9일까지 쓰레기, 분뇨 등을 담은 오물풍선을 네 차례 살포했다. 이후 탈북민단체에서 대북전을 북쪽으로 보내자 지난달 24일과 25일 잇따라 오물풍선을 남쪽으로 날려 보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