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의 올해 2분기 해상-항공(Sea&Air) 복합운송 실적이 1분기 대비 64.2% 증가했다.
22일 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공항 2분기 전자 상거래 Sea&Air 실적은 1분기 1만9천266t 대비 64.2% 증가한 3만1천644t을 기록했다.
출발지는 중국이 99.6%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도착 항만은 인천항(37.3%), 군산항(31.8%), 평택항(30.4%) 순이었다. 목적지는 미주(41.6%), 유럽(32.1%) 등이 강세를 나타냈다.
공항공사는 최근 중국계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판매 시장 다각화에 나서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는 동남아시아 및 중동, 남미 등으로의 전자상거래 화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국내 3개 항만으로부터 인천공항까지의 운송 시간을 분석한 결과, 총 소요시간으로는 인천항이 가장 빨랐으며 실제 공항 도착 시간은 군산항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만별 운송 소요 시간은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각 항만에서 인천공항까지 운송된 Sea&Air 화물들을 표본 추출 후, 각 구간별 세관 신고시간 평균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인천공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천항이 총 평균 소요 시간 4시간 39분으로 가장 짧았다.
반면 인천공항에 화물이 도착한 평균 시각은 군산항이 14시20분으로 인천항의 14시22분보다 2분 빨랐다.
이는 군산항에 카페리선이 도착하는 시간이 2시간30분 빠르고, 항만 내 화물 처리시간도 타항 대비 최대 1시간37분 빨라서다.
공항공사는 Sea&Air 복합운송을 이용할 경우, 국내 도착 항만에 상관없이 인천공항에 화물이 도착하는 시간은 비슷해 안정적인 물류 모델을 구축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공항공사는 인천공항을 아시아 전자상거래 화물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지난 2분기에는 중국 및 미주 지역의 주요 물류 기업 및 항공사, 정부기관 등을 만나 인천공항 기반 Sea&Air 운송모델을 홍보하고 개선점을 분석했다.
이학재 사장은 “항공물류 업계에서는 신속한 사업모델 전환이 중요해졌다”며 “인천공항은 앞으로도 시장의 변화를 가장 빠르게 전망하고 새로운 성장 방향을 업계에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