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이슬' 김민기 학전 대표 별세

image
고(故) 김민기. 연합뉴스

 

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학전'을 30년 넘게 운영하며 후배 예술인을 양성한 가수 김민기가 73세의 일기로 21일 별세했다.

 

22일 공연예술계에 따르면 김민기는 전날 지병인 위암 증세가 악화돼 세상을 떠났다. 

 

1951년 전북 익산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난 김민기는 서울대 미대 1학년 때인 1969년 '도비두'라는 그룹을 결성,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 

 

1970년 서울 명동 '청개구리의 집'에서 공연하면서 그의 대표곡 '아침이슬'을 작곡했다. 이 노래는 김민기의 초등학교 동창인 양희은이 부르면서 당시 군부 독재 저항의 상징처럼 여겨졌다.

 

1971년 발표한 데뷔 음반 '김민기'는 출반 직후 모두 압수당했고 '꽃 피우는 아이', '늙은 군인의 노래', '상록수' 등 그의 노래들은 줄줄이 금지곡으로 지정됐다.

 

이후 생계를 위해 봉제 공장과 탄광에서도 일하기도 했으며 1984년 민중가요 노래패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결정, 프로젝트 음반을 발매했다. 

 

연극에도 활발히 참여했던 김민기는 1973년 고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와 이듬해 마당극 '아구' 제작에 참여했고 1978년 노래극 '공장의 불빛'을 시작으로 1983년 연극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등도 연출했다.

 

1991년 3월 자신의 곡들을 모은 4장의 음반 계약금으로 서울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했다. 이후 공연을 연출하며 유명 가수와 영화배우 등 후배 예술인을 배출했다. 라이브 공연으로 팬들과 호흡한 고 김광석, 윤도현, 나윤선, 정재일 등이 있다. 

 

특히 1994년부터 시작한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한국 뮤지컬 역사의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 원작을 한국 정서에 맞게 번안한 작품으로 2023년까지 8천회 이상 공연이 이뤄졌고 70만명이 넘는 관객을 모았다. 이 과정에서 '학전 독수리 5형제'로 불린 설경구·김윤석·황정민·장현성·조승우를 배출하기도 했다.

 

그는 만성적인 재정난에도 뮤지컬 '의형제'(2000), '개똥이'(2006)와 '어린이극 '우리는 친구다'(2004), '고추장 떡볶이'(2008) 등을 연출하며 대학로 공연 문화를 이끌었으나 학전은 문을 연 지 33년만인 지난 3월 15일 폐관했다.

 

'의형제'로 2001년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분 대상과 연출상을 받았고, '지하철 1호선'으로 한국과 독일 문화교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독일 정부로부터 괴테 메달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배우자 이미영 씨와 2남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고, 24일 발인 예정이다. 장지는 천안공원묘원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