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 수련 대신 개원가로’…정부, 수련환경평가에 전공의 참여 늘린다

관련사진. 연합뉴스
사진은 해당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올해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시작됐지만 전공의들은 수련병원 대신 개원가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다만, 사직 전공의들의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서 일반의 취업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등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사직 처리된 전공의 대다수가 올해 하반기 수련에 복귀하지 않고 미용병원·요양병원 취업이나 해외 의사 면허 취득 등 새로운 길을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 17일 기준 전체 수련병원 전공의 1만3천531명 중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된 인원은 7천648명이다.

 

사직한 전공의들은 수련을 완전히 마치지 않은 탓에 전문성을 살려 취업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더욱이 사직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개원가로 쏟아져 나오면서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적절한 자리를 구하기 어렵다는 게 의료계의 전언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참여하는 전공의의 수를 늘리기로 했다.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전공의 수련 정책과 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 설치된 심의기구다.

 

최근 복지부는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가 위원을 현행 3명에서 5명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전공의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정부는 오는 8월12일까지 입법예고를 진행한 뒤 이르면 11월부터 전공의 위원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부가 일부 의대 교수 사이에서 일고 있는 ‘수련 보이콧’ 움직임에 대해 “환자들의 불안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일부 의대 교수들이 하반기에 모집 될 전공의의 교육과 지도를 거부하는 ‘수련 보이콧’ 의사를 밝혔다”며 “교수 보이콧이 가시화될 경우 내부적으로 법적 조치를 검토해 나가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