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의 의료 현장 이탈로 경기도가 추진 중인 ‘소아응급 책임 의료기관’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월 공모를 거쳐 24시간 중증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응급실을 갖춘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 4곳을 지정했다. 아주대병원, 분당차병원, 명지병원, 을지대병원 등이다.
도는 이들 병원이 여건에 따라 응급실 운영을 위한 1~4명의 소아과나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채용하는 조건으로 병원당 5억~2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초 계획대로 지난 5월 중증 소아응급실 진료를 개시한 병원은 분당차병원 1곳에 그치고 있다.
기존 인력에 1~2명 추가 채용이 필요한데, 아주대병원과 명지대병원은 이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 인력이 부족한 을지대병원은 필요 의사 4명 중 1명만 채용한 상태다.
이 같은 운영 차질은 해당 병원 전공의들의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사직하며 기존 의사들의 업무가 가중돼 중증 소아응급실 운영의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소아응급 책임의료기관 지정과 관련한 조례 개정을 검토하는 등 추가 지원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수련병원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진행한지 일주일이 됐지만 ‘빅5’ 병원에조차 지원자가 없어 전공의 채용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각 수련병원들은 지난 22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시작했다. 모집 마감일은 오는 31인데, 현재까지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대병원 등 서울 주요 상급종합병원의 지원자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는 교수들 사이에서도 전공의 수련 참여를 보이콧하겠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며 개원가로 눈을 돌리는 전공의들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한 병원 관계자는 “일부 인기과에는 지원자가 있을 수 있어 마감일까지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면서도 “분위기상 많이 지원하지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