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아파요”…지자체 단속에도 경기도내 식중독 ‘기승’

올해 7월 초까지 5회 점검 6천38곳 확인… 14곳 적발
설사·구토 ‘의심 사례’ 속출...道 “방지 관련 대책 모색”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음식물이 쉽게 상하는 여름철을 맞아 경기도가 식중독 위험 지역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도내 곳곳에서 식중독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31일 경기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도내 식중독 발생 건수는 총 264건이다. 해당 기간 사이 한 해 평균 52.8건의 식중독이 발생한 셈이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 19일까지 34건이 발생, 8월과 9월 등 앞으로 발생할 건수까지 고려하면 이전 식중독 발생 흐름과 비슷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 도는 매년 3월부터 음식점과 집단 급식소 등 위험 지역에 대한 단속에 나서고 있다. 올해도 7월 초까지 5번의 점검을 나가 6천38곳을 확인, 14곳을 적발해 조치에 나섰다.

 

하지만 거듭된 단속 및 관리에도 지난 7월31일 오전 2시17분께 광주 곤지암의 한 수양관에서 열린 종교단체 행사에서 참가자 중 일부가 설사와 구토 등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인다는 신고가 접수돼 보건당국이 역학 조사에 나섰다. 또 지난 7월11일 김포의 한 고등학교에서도 학생 38명이 단체로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이는 등 관련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식중독은 지자체 단속만으로 막기엔 한계가 있으며 실질적인 예방을 위해선 개인의 자체적인 예방 활동이 우선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유병욱 순천향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여름철은 음식이 상하기 쉬워 익히지 않은 음식을 섭취하지 말고 음식을 실온에 두지 않는 등 개인 스스로가 조심하는 것이 먼저”라며 “경기도 등 지자체는 지금처럼 위험 지역에 대해 관리를 하면서 동시에 식중독 예방 수칙에 대한 홍보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도 관계자는 “식중독 위험 지역에 대한 단속과 함께 관련 홍보를 지속적으로 늘리는 중”이라며 “식중독 방지를 위한 관련 대책을 계속 고심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