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내 아이돌보미 숫자가 이용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아이돌봄서비스’의 실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28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아이돌봄서비스란 정부와 도가 생후 3개월~만12세의 영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맞벌이 등 돌봄 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아이돌보미가 파견돼 부모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는 목적으로 시행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해 실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올해 7월 기준 경기지역내 아이돌보미는 5천409명, 실이용 아이들은 1만2천54명으로 확인됐다. 돌봄서비스 신청자들의 수요가 주로 몰리는 시간대가 돌봄공백이 발생하기 쉬운 출퇴근 시간대 위주라는 점을 고려하면, 병목현상은 더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자 일부 맞벌이 가정에서 아이돌봄서비스를 신청해도 6개월~1년을 기다리는 경우도 생기는 실정이다. 현재 돌보미로 고용되려면 80시간의 양성 교육과 현장실습까지 마쳐야 하는데, 주로 은퇴 연령대인 60대 이상 여성들이 많고 일을 시작하기까지 투입 시간이 길고 보수 역시 최저시급보다 조금 높은 수준에 불과하다보니 지원자가 많지 않다는 분석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양성 교육과 현장실습 등 돌보미 채용을 위한 자격 요건이 생기고, 부모들이 원하는 시간대가 주로 출퇴근 시간대에만 몰려 있어, 낮에는 돌보미가 남아 도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에 돌보미 수급불안정이 서비스 지연으로 이어져 보육 사각지대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백선희 서울신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당장 돌보미를 늘릴 수 없는 만큼 돌보미의 수급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보육정책도 잘 갖추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돌보미 수급불안정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