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추석…“벌초 시 예초기·벌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추석을 앞두고 벌초 등 풀베기 작업 시 예초기 사용 및 벌 쏘임에 대한 주의가 당부된다.

 

2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소비자원에 접수된 예초기 안전사고는 총 405건으로 집계됐다. 벌초와 풀베기가 한창인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예초기 사고로 다치는 부위로는 ‘발·다리’가 6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손·팔’ 25%, ‘머리·얼굴’ 5%, ‘어깨·목’ 2% 순으로 많았다.

 

증상별로는 10건 중 8건 정도가 예초기 날에 피부가 찢어지거나 베이는 ‘열상·절상’이고, 발생 건수는 적지만 골절, 절단, 안구손상 등 상해가 큰 사고도 있었다.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또, 같은 기간(최근 5년) 벌에 쏘여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9만2천660명이며, 이 중 절반인 50%가 8월과 9월에 집중 발생했다.

 

환자의 연령대는 60대가 28%(13,171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 27%, 40대 14%, 70대에서 12% 등이다.

 

소비자원은 예초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 전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긴 옷을 입을 것 ▲칼날의 부착 상태와 작업봉 결합 여부 등을 꼼꼼히 살피고, 가급적 보호 덮개를 장착해 사용할 것 ▲작업 반경 15m 이내로는 돌과 나뭇가지, 금속 파편 등이 튀어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않도록 주의할 것 등을 권했다.

 

아울러 벌 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이 천적으로 인식하고 공격성을 나타내는 어두운색보다 밝은색 계열의 모자와 옷을 선택하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긴 옷차림 ▲벌을 부르는 향이 강한 화장품 등 사용을 자제하고, 달콤한 과일과 음료 등 음식물 관리에도 주의 ▲벌집을 발견하게 되면 섣불리 제거하려 하지 말고 119로 신고하거나 전문가를 통해 해결할 것 등을 당부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손에 익지 않은 예초기일수록 안전장비 착용을 철저히 하고 안전수칙을 잘 지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며 "추석을 앞두고 벌초나 이른 성묘 등을 위해 산에 갈 때는 벌 쏘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