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K-컬처밸리 공영 개발 반대 뜻 분명히 해

CJ와 재협상 등 민간개발 주도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
이동환 시장, 해결책 논의 위해 김동연 지사에 독대 요청

경기도가 지난 6월30일 협약 해제를 통보한 CJ라이브시티의 공사장 출입문이 굳게 닫혀 있다. 신진욱기자
경기도가 지난 6월30일 협약 해제를 통보한 CJ라이브시티의 공사장 출입문이 굳게 닫혀 있다.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가 경기도의 ‘K-컬처밸리' 공영개발 추진에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시는 도가 발표한 K-컬처밸리 복합개발사업의 새로운 추진방향에 대해 전반적인 재검토를 촉구한다고 2일 밝혔다.

 

도의 해법에 반대하면서 시가 제시한 K-컬처밸리의 신속한 정상화 방안은 ▲CJ와 재협상 등을 포함한 민간개발 주도로 사업방식 재전환 ▲경제자유구역과 K-컬처밸리 분리 추진 ▲다자협의체(경기도, 고양시, 고양시민, 정치권, 기업) 구성 등이다.

 

시는 공영개발 방식에 반대하는 이유로 협약 해제로 인한 CJ와의 분쟁이 소송으로 번질 경우 사업 정상화가 장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높고 아레나 공연장 특성상 운영자가 설계단계부터 참여해야 한다는 점 등을 들었다.

 

또한 시는 K-컬처밸리 부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하겠다는 도의 계획에도 우려를 나타냈다.

 

JDS지구의 경자구역 지정 추진이 이미 진행 중이며, CJ와의 분쟁에 휘말릴 경우 K-컬처밸리 부지에 대한 경자구역 지정 신청이 지연될 수 있다는 게 이유다.

 

이동환 시장은 “20년 가까이 된 숙원사업이 하루아침에 무산돼 매우 실망감이 크다. 108만 시민의 분노와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지금이라도 K-컬처밸리가 현실적이고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경기도의 전향적인 결단이 있기를 희망한다”며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김동연 도지사와 직접 둘이 만나 해결책을 논의할 것을 제안하고 K-컬처밸리 사업이 정상화되는 날까지 108만 시민과 함께 뜻을 모아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K-컬처밸리는 고양 일산동구 장항동 32만6천400㎡ 부지에 K-팝 전문 아레나와 스튜디오, 테마파크, 상업·숙박·관광시설 등을 조성하는 2조원 규모의 개발사업이다.

 

경기도는 각종 지원과 노력에도 8년간 전체 공정률이 3%에 불과하며 CJ가 지체상금 감면 등 수용하기 어려운 요구를 한다며 지난 6월 30일 협약 해제를 전격 결정한 바 있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달 17일 김성회(고양갑)·이기헌(고양병)·김영환(고양정) 국회의원과 긴급 회동하고 ▲원형 그대로 추진 ▲공영개발 방식으로 신속 추진 ▲특별회계 신설을 비롯한 책임있는 자본 확충 등 3개 항목에 합의한 바 있다.

 

도가 추진한다는 공영개발의 핵심은 건설은 경기도가 하고 운영은 민간이 맡는 ‘건경운민’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