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신도시 선도지구 22곳 신청…“6천호+1~2곳 선정” 전망

공모신청 세대수 약 3만호…기준규모  6천호의 5배
市 “평가기준에 따라 점수 산정 후 국토부와 협의해 선정”

일산신도시 전경. 경기일보DB
일산신도시 전경. 경기일보DB

 

지난 27일 마감된 일산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공모에 총 22곳이 신청하면서 최종 선정 결과에 대한 지역 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와 고양특례시 등에 따르면 ‘1기 신도시 정비 선도지구 선정 공모’에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47개 특별정비예정구역의 절반 가까운 22곳이며 주거형태별로는 아파트 11곳, 연립 10곳, 주상복합 1곳 등이다.

 

공모에 뛰어든 22곳의 세대수는 약 3만호로 기준 선정 규모인 6천호의 5배에 달한다.

 

신청 구역 중 세대수 3천호를 넘는 곳은 강촌3·5·7·8단지(3천600호), 백마3·4·5·6단지(3천300호) 등 2곳이다.

 

평균 주민동의율은 84.3%며 아파트와 연립 간 주민동의율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고양시 평가기준표에 따르면 주민동의율 차이가 없을 경우 ▲통합구역 내 세대당 주차대수 ▲통합정비 참여 주택단지 수 ▲통합정비 참여 세대수 등 항목에서 유리한 아파트가 높은 점수를 받게 된다.

 

이소동 시 신도시정비계획팀장은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선도지구 선정에 주거형태별 안배를 할지 여부는 평가가 끝난 후 국토부와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라며 “국토부가 정한 선도지구 선정 기본규모는 기반시설을 감안한 적정 물량이므로 선도지구 선정은 6천호 플러스 한 두 곳이라는 뉘앙스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선도지구 공모에 참여한 백송마을 1·2·3·5단지의 진재근 재건축추진준비위원장은 “상가 다물권자들까지 포함해 주민 동의를 87% 정도 받았다"며 "우리 단지는 정주환경개선의 시급성이 높은 만큼 이번에 선도지구로 지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도지구 선정 결과는 오는 11월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지역에서는 지난 25일 공개된 일산신도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에서 아파트 기준용적률이 예상보다 낮은 300%로 제시됨에 따라 재건축 사업성이 나빠질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기준용적률 300%는 현 용적률(172%)에서 128%p 높아진 수치로 144%p 증가한 분당(182%→326%)에 비해 증가폭이 16%p 낮다.

 

고양시는 ‘공원도시 일산’이라는 노후계획도시정비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적정한 용적률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