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韓 원폭 피해자에 적극적 지원·관심 필요” [원폭피해, 그후]

정부·지자체, 1·2·3세대 피해자
정확한 현황 파악 시스템 구축
실질적 지원 법 제도 강화해야

전문가 제언 “韓 원폭 피해자에 적극적 지원·관심 필요” 

 

이대수 아시아평화시민네트워크 대표. 경기일보 DB
이대수 아시아평화시민네트워크 대표. 경기일보DB

 

전문가들은 원폭 피해자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 및 지자체의 무관심과 관련해 정부에는 피해자 실태조사와 법 제도 강화를, 피해자에게는 더욱더 목소리를 낼 것을 강조했다.

 

이대수 아시아평화시민네트워크 대표는 25일 경기일보와 만나 “이번에 일본 피폭자단체가 노벨 평화상을 받은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며 “우리나라가 전쟁 침략국의 식민지였던 게 잊혀진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지원 정책이 있어도 피해자들에게 홍보하는 노력을 왜 안 하는지 모르겠다”며 “피해자는 한정돼 있다. 시스템을 구축해 1·2·3세대 피해자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 원폭 피해자단체는 궁극적으로 지구상에서 핵무기를 없애기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핵에 대해 너무 모르는 ‘핵맹’ 상태”라며 “이번 노벨 평화상도 이러한 이유가 원인이다. 다시는 후손들에게 핵을 사용하지 않게 하고 정부와 지자체, 모든 국민이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image
김지영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교수. 본인 제공

김지영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교수는 경기도의 의료·휴양·문화지원 이용률이 저조한 것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김 교수는 “경기도지사가 직접 관심을 가지며 문제들에 대해 정밀하고 촘촘하게 들여다봐야 한다”며 “정부도 마찬가지로 피해자단체와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최소한 일본 정부가 피해자 단체들에 지원하는 수준 정도까지는 지원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어 원폭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원폭 피해자들은 당시 유전이라는 문제 때문에 피해 사실을 숨기기 바빴다”며 “숨어 있는 피해자들이 원폭 피해자단체와 같이 목소리를 낸다면 정책 마련과 지원에 있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나 기관에서 피해자를 지원하는 것은 당연하고 도덕적인 일이다”며 “국가와 지자체에서는 많은 관심을, 피해자단체는 피해 회복 및 이슈화하는 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인식 개선은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본인 제공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본인 제공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원폭 피해자들이 전쟁 피해자라는 것을 알리고 법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김 실장은 “피폭자는 일본에만 있는 것이 아닌 우리나라에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며 “정부와 지자체, 국민 모두 이들을 잊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도에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7만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 역시도 턱없이 부족하다”며 “피해자는 1세대뿐 아니라 2, 3세대들도 후유증으로 엄청난 고통을 받고 있다. 그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피해자들이 아픔을 조금이나마 잊기 위해서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며 “문화와 휴양 지원 같은 형식적인 지원이 아닌 실질적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법 제도가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