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제품 홍보 및 유통 활성화, 신기술 개발 지원 반려 동물 산업 인프라 강화 등 전략 포함
민선 8기 경기도가 주요 정책으로 추진 중인 반려동물산업 육성을 위해 글로벌한 반려동물 문화 구축, 신기술 개발 지원 등을 담은 4대 전략, 12개 과제를 제시했다.
도는 도내 관련 업체가 참여하는 대형 전시회 개최, 전용 전시관 구축 등 핵심과제에 대해 내년부터 계획을 수립하고 5년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반려동물산업 활성화를 위해 실시한 ‘반려동물산업 실태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난해 10월 전부개정된 ‘경기도 반려동물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에 따라 경기도 반려동물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및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자 올해 3월부터 약 7개월간 진행됐다.
주요 연구 내용은 ‘경기도 반려동물산업 현황 및 기초통계 자료 수집’과 ‘경기도형 특화사업 발굴 및 추진 방안 제시’, ‘도내 유망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및 수출 활성화 방안 제시’, ‘도내 반려동물산업 기본정책 방향 및 목표 수립(5개년 계획)’ 등이다.
연구용역에서 도는 혁신 기술과 지속가능한 솔루션으로 도약하는 반려동물 산업의 글로벌 리더라는 비전 아래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보고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4대 추진전략과 12대 핵심과제를 제안했다. 4대 전략은 ▲경기도 제품 홍보 및 유통 활성화 ▲신기술 개발 지원 ▲반려동물 산업 인프라 강화 ▲글로벌한 반려동물 문화 구축 등이다.
보고서는 4대 전략에 따른 12개 핵심과제 가운데 네 가지를 경기도형 특화사업으로 지정하고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4대 경기도형 특화사업’을 살펴보면 먼저 반려동물 산업의 육성과 연관기업의 성장을 위해 반려동물을 주제로 한 경기도형 대형 전시회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내년부터 2029년까지 도내 반려동물 연관기업 100개사 이상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 박람회 개최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두 번째로는 이와 연계해 경기도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상시 온·오프라인 B2B 전용 전시관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포함했다.
세 번째로는 우수 제품 개발을 위한 ‘신기술 개발 지원’으로 경기도 특산물과 동물 제품 컬래버레이션 공모전을 추진하고,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개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네 번째로 ‘글로벌한 반려동물 문화 구축’을 위해 도내 반려동물 동반 가능 업소나 공간에 컨설팅 및 표지판 등을 지원하는 반려동물 친화적인 공간 홍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도는 내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연차적으로 핵심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은경 도 반려동물과장은 “경기도만의 차별화된 특화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지역 경제와 반려동물 산업의 동반 성장을 이끌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