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탈석탄, 당 차원 대응”…탈탄소 노동전환 간담회

참석자들 “정책적인 노력과 배려 필요”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이 지난 29일 보령화력발전소에서 현장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이 지난 29일 보령화력발전소에서 현장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의원실 제공

 

정부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추진 중인 가운데, 국회와 노동계가 탈탄소 노동전환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포천⸱가평)은 지난 29일 보령화력발전소에서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정책 과정에서의 탈탄소 노동전환 실현을 위한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 시설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이태성 발전비정규직연대회의 간사, 송홍곤 공공노련 한전산업개발 노조위원장 등 노동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CCUS의 포집기술이 석탄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탄소중립이라 할 수 있는 영역을 활용해 업종 전환 노력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석탄 분야 외에도 산업단지 조성될 때마다 고용전환이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원전은 쉬었다가 재가동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데, 화력발전은 비교적 재가동이 유용한 만큼 사용하는 기간 동안은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탈석탄은 보수, 진보 문제가 아니라, 그 안에서 공정한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문제”라며 “국민의힘 노동전환특위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당 차원에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간사는 “석탄폐쇄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지만 만약 그렇게 된다면 현재의 근로자는 일자리 문제가 발생한다”며 “국가적 정책 추진 과정에 일부 불합리한 분이 있더라도 적응하며 대응해나갈 의지가 있는 만큼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만약 폐쇄사업장이 생긴다면 이후 중단없이 타 유사 직종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며 “폐지될 시 유휴인력이 존재하는데, 분명 필요로 하는 분야 및 직종 등이 있기에 정책적인 고려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