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제각각인 폼클렌저…가격은 최대 2배 차이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시중에 판매되는 폼클렌저 제품마다 자외선차단제 제거 성능이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폼클렌저 10개 제품에 대해 세정력과 소비자 사용감,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하고, 그 결과를 19일 밝혔다.

 

먼저 폼클렌저 10개 제품이 클렌징 오일(유분)과 자외선차단제를 얼마나 잘 제거하는지 세정 성능을 비교한 결과, 클렌징 오일 제거 성능은 전 제품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자외선차단제를 제거하는 성능은 제품 간 차이가 있었는데, ▲마녀공장 딥 포어 클렌징 소다폼(㈜마녀공장) ▲센카 퍼펙트휩 페이셜 워시 A(파인투데이코리아㈜) ▲에이에이치씨 프렙 리셋 클렌징 폼(㈜카버코리아) ▲이니스프리 화산송이 바하 모공 클렌징 폼(㈜이니스프리) ▲해피바스 마이크로 미셀라 딥 클렌징 폼(㈜아모레퍼시픽) 등 5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특히 폼클렌저만 사용해 세정한 경우에는 자외선차단제 성분 일부가 피부에 남아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이중 세안 등 꼼꼼한 세안이 필요했다.

 

또 소비자가 모든 폼클렌저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항목들을 5점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평가한 결과에서는 ‘전반적 만족도’가 최저 3.1점~최고 3.8점으로 기록됐다.

 

세부 항목별로는 사용 시 헹굼성 등이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고, 잔여감과 사용 후 부드러움, 촉촉함 등은 제품 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마녀공장 딥 포어 클렌징 소다폼(㈜마녀공장)’은 헹굼성(4.2점)과 전반적 만족도(3.8점) 항목에서 가장 높게 평가됐다.

 

이어 화장품에서 사용 한도를 제한하는 페녹시에탄올 등 살균보존제 11개 성분과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6개 성분을 확인한 결과, 전 제품이 화장품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와 내용량 등도 모든 제품이 관련 표시기준을 준수했다.

 

환경에 잔류하거나 생물에 축적되는 유해 물질인 사이클로실록세인(D4, D5)은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끝으로 제품별 10mL당 가격은 '네이처리퍼블릭 스네일 솔루션 폼 클렌저(㈜네이처리퍼블릭)'가 667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마녀공장 딥 포어 클렌징 소다폼(㈜마녀공장)'이 1천333원으로 가장 비싸 최대 2배 차이가 났다.

 

소비자원은 이번 가격·품질 비교정보를 ‘소비자24’ 홈페이지 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