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진 “국힘 당무 감사 전 기존 당무 감사부터 감찰해야”

“친윤 일각서 입막음 용 감사 아니냐고 말하고 있어”
“정략 감사 자백려…치부 과감하게 도려내야 할 것”

국민의힘 조해진 의원이 지난 4월19일 국회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간담회에 입장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4·10 총선 수도권 낙선자들을 비롯한 원외 조직위원장들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조해진 의원이 지난 4월19일 국회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간담회에 입장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4·10 총선 수도권 낙선자들을 비롯한 원외 조직위원장들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소속 조해진 전 의원은 2일 “국민의힘은 당무감사를 하기 전에 기존 당무감사부터 감찰해야 한다”며 “공천개혁과 정치개혁, 당 쇄신과 정당개혁 차원에서 당무감사 정상화를 위한 감찰을 먼저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내년 2월에 국민의힘이 시도당·당협 대상 정기감사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자, ”며 “이는 그들이 주도해서 실시했던 감사가 그런 부류의 정략적 감사였다는 자백으로 들린다”고 밝혔다.

 

조 전 의원은 이어 “국민의힘의 오랜 적폐 중 하나가 당협 당무감사였고, 특히 공천을 앞둔 당무감사가 그랬다”며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들이 월화수목금금금 하면서 4년 내내 일구어 놓은 지역을 현지 사정도 모르는 감사 요원 두어 명이 한 두 시간 쓱 훑어보고 당락을 매긴다는 것 자체가 원천적으로 말이 안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전 의원은 또 “사전에 평가 기준이나 배점 비중이 공지되는 것도 아니고, 사후에 결과가 공개되고 보완 또는 시정 절차가 주어지는 것도 아니었다”며 “기본적으로 부실 감사, 깜깜이 감사가 불가피한 구조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무감사가 계파 공천, 보복 공천, 학살 공천의 도구로 악용돼 온 것은 더 큰 문제”라며 ”“공천 때마다 사전에 살생부가 만들어지고, 그에 따라 주문 생산 감사, 맞춤형 감사, 점수 조작 감사가 이루어진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조해진 전 의원 페이스북 캡처.
국민의힘 조해진 전 의원 페이스북 캡처.

 

조 전 의원은 “특정 그룹에 불리한 평가 기준이 만들어지고, 그에 맞춰 감사 요원들이 긍정적 자료는 배제하고 부정적 자료만 반영하거나 경쟁자 측 여론만 집중적으로 청취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친윤 일각에서 당 지도부가 당협위원장 교체를 무기로 비판에 입막음하려 한다고 말하는 것이, 자기들이 칼자루를 쥐었을 때 공정하고 객관적인 감사를 하지 않고, 정략적·작위적 감사를 했다는 실토로 보이는 이유”라고 평가했다.

 

계속해서 “보수정당이 오늘 이렇게 나락에 떨어진 데는 선거 때마다 반복된 계파 공천·보복 공천과 당의 분열, 그로 인한 선거 참패가 원인이었고, 그 바탕에 적폐형 당무감사가 제도적으로 부역해 왔다”며 “당이 쇄신하고 새출발하려면 이런 치부부터 과감하게 도려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 전 의원은 “최근 몇 년간 시행된 공천 또는 당협 개편용 당무감사의 실태에 대해 전반적인 감찰을 해서, 문제를 확인하고 제도적으로 시정·보완하는 조치부터 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서 정략적 의도가 개입되지 않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당무감사 제도가 확립됐을 때 당도 쇄신되고, 감사의 신뢰성도 확보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국회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뿐만 아니라 당 소속 지자체장에 대한 당무감사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조 전 의원은 “당의 지역적 기반을 위해서는 국회의원이나 원외 당협위원장 못지않게 당 소속 지자체장의 역할이 중요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단체장이 당협위원장보다 더 중요한 곳도 있기 때문”이라며 “당 공천 지자체장들의 당정 협의와 당무 협조 실태, 공약 이행 성과, 행정 업무 수행 평가, 청렴도, 주민 여론 등에 대해서 당무 감사를 해서 차기 공천 평가에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