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사태’ 대통령 사과에도 차가운 경기도민들…“탄핵으로 책임져야”

image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정된 7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대통령 대국민 담화 중계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사태’ 나흘만인 7일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의 뜻과 거취 의사를 밝혔지만 경기도민 사이에서는 “탄핵으로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대통령의 사과에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 만큼 이날 국회에서 예정된 윤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통과돼야 한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대국민 담화를 실시해 “비상계엄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임기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국민의힘)에 일임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담화 이후 도민들의 반응은 “무성의하고 진정성이 없다”며 차가운 반응이 주를 이뤘다.

 

성남시에 거주하는 윤준석씨(30)는 “뜬금없는 계엄으로 불안한 정국을 조성한 대통령의 담화문에서 사과나 반성이 느껴지지 않아 어처구니가 없었다”며 “곧 탄핵 소추안을 표결하는데 이런 담화는 오히려 분노를 부추기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수원시민 박찬호씨(61)도 “5일이 지나 입장표명을 한 것도 늑장대응이라고 생각하는데, 담화가 너무 순식간에 끝나 당황스러웠다”며 “아무것도 해결하려 하지 않고 시민 불안도 잠재우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민들은 윤 대통령이 물러나는 방식으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성남시민 안수연씨(30)도 “비상계엄으로 온 나라를 뒤집어 놓고 사과로 끝나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본인이 직접 법적 책임을 진다고 발언한 만큼 탄핵으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에 사는 직장인 임한빈씨(28)는 “비상계엄으로 이어진 국민의 우려를 하나도 해소하지 못했다. 탄핵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생각만 더 커졌다”고 말했고 과천시민 김모씨(57) "이번 담화는 내란수괴가 내란 동조 세력에게 권력을 일임하겠다고 한 내용일 뿐"이라며 "오늘 집회에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굳건히 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는 이날 오후 5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표결한다. 소추안이 가결될 경우 윤 대통령의 직무는 곧바로 정지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