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야당이 발의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7일 개회된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 정족수 미달로 자동 폐기됐다. 국민의힘은 당론으로 탄핵소추안 반대를 결정해 국회 표결에 불참함으로써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일단 면하게 됐다.
그러나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비상계엄을 선포한 책임은 탄핵밖에 없다면서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주장하고 있다. 또 야당은 오는 11일 임시국회를 소집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재발의하겠다고 말하고 있어 정국의 혼란은 지속될 것 같다.
이번 국민의힘이 탄핵을 반대한 이유는 우선 윤 대통령이 지난 토요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국민에게 사과하는 동시에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법적·정치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또 대통령은 “저의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담화에서 말한 것이 표결 불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대통령 담화에서와 같이 이제 정국의 방향은 국민의힘이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에 어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긴급 담화문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은 남은 임기 동안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할 수 없으므로 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 국민 다수의 판단”이라고 말하면서 당정 주도로 탄핵 정국을 수습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한덕수 총리도 어제 오후 국무위원 간담회를 통해 현 상황에 대한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
국민의힘은 혼란스러운 정국 수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대통령이 임기 문제를 비롯해 정국안정 방안을 국민의힘에 일임했으니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대안을 조속히 제시해야 할 것이다.
한 대표의 말과 같이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수행이 어려우므로 질서 있는 조기 퇴진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개헌안 발의 등을 통해 임기 단축을 포함한 조기 퇴진의 로드맵을 제시하는 방법도 있다. 현행 헌법은 1987년 개정돼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개헌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높으므로 야당과 협의, 대통령의 임기 단축을 포함한 개헌안을 마련해 국회에서 발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경제, 국방안보, 외교 등 모든 분야가 혼란스럽다. 민생은 더욱 어렵다. 민주당 등 야당도 탄핵만 외치지 말고 조속히 새해 예산안을 국민의힘과 협의, 통과시켜 새해 예산 집행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