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대통령실과 국방부 강제수사와 경찰 수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단행하고 검찰도 국회에 군 병력을 투입했던 육군 수도방위사령부를 압수수색 하는 등 ‘계엄 사태’ 관련 검·경 수사가 연일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국가기록원도 대통령 비서실, 국방부 등 수사 대상 기관 12곳의 비상계엄 당시 기록물 점검을 시작, 조사 대열에 합류했다.
12일 경찰, 법조계 등에 따르면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 2차 압수수색을 단행, 합동참모부를 대상으로 계엄사령부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섰다.
경찰은 전날에도 대통령실 내 국무회의실, 경호처, 101경비단, 합참 지휘통제실 등 4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지만 대통령 경호처의 거부 탓에 일부 자료만 임의 제출받았다.
또 경찰은 국방부, 수도방위사령부에도 수사관을 보내 현재 구속 상태인 김 전 장관의 비화폰과 관련 서버도 확보했다. 전날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출범한 ‘공조 수사본부’의 첫 활동이다.
특히 경찰은 이날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에게 형법상 내란 중요 임무 종사 혐의를 적용, 검찰에 구속 영장을 신청했다.
검찰도 이날 계엄 사태 당시 수방사가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경위를 파악하고자 군검찰과 함께 수방사, 이진우 수방사령관 자택 및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 했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도 이날 서울경찰청을 시작으로 국방부, 대통령 비서실 등 비상계엄 선포 당시 관계된 12개 기관의 기록물 보존 실태 점검에 착수했다.
비상계엄 관련 기록물 훼손 가능성이 제기되자 대통령기록관과 우려 불식에 나선 것인데, 앞서 계엄 사태 직후였던 지난 6일 국가기록원은 각 기관에 철저한 기록물 보전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저를 탄핵하든, 수사하든 저는 이에 당당히 맞설 것”이라며 정치권, 수사 기관과의 공방을 예고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