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철 작가 초대전 ‘About wish’, 면실로 바느질… 작품 30여점 선봬 ‘상처의 기억’ 느릿한 시간 치유 표현
거친 닥나무 껍질을 물에 불리고 다듬어 한지라는 소재를 만든다. 겹겹이 쌓아 올린 한지 위에 한땀 한땀 바느질을 한다. 힘을 가해 송곳으로 구멍을 뚫고, 구멍을 통해 화면의 앞과 뒤를 왕래하며 실을 쌓아간다.
하남에 위치한 갤러리 베누스에선 오는 1월 2일부터 바느질로 시간을 빚고 그 안에 담담한 일상의 바람을 눌러 담은 김순철 작가 초대전 ‘About wish’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지에 면실로 바느질하여 실(絲)을 오브제로 한 회화 작품 30여점을 만날 수 있다.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는 독창적인 방법으로 전통을 재해석 한다. 닥나무 껍질을 다듬어 제작한 요철감 있는 한지 위에 자수의 기법을 접목하며 자신만의 예술 영역을 구축해 오고 있다.
황금빛으로 쌓아 올린 도자기는 동서양,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가로지르고 중앙에서부터 뻗어나가는 색색의 꽃은 에너지와 생명력을 내뿜는다.
김영순 평론가는 “자기주장이 강한 한지의 물성은 자유로운 표현을 욕망하는 작가들에게 극복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체험됐다”며 김순철은 그러한 부담을 기꺼이 받아들였다고 평했다.
작가는 오랜 작업 과정의 의미가 자신을 비워내고자 하는 내면과의 소통이라고 말한다.
한지 위에 바느질, 고단하게 반복되는 되새김질은 수많은 생각을 동반하고, 그 시간보다 더 길고 깊은 스스로의 잠행(潛行)에 들게 한다는 것. 한 땀 한 땀 이어지는 행위의 흔적들은 반복되는 일상에서 짧고 깊은 호흡이며 무의식에 감춰지거나 억눌린 상처의 기억들이다. 느릿한 시간은 치유(治癒)와 자정(自淨)의 시간이기도 하다.
작가는 자신의 노동과 내면에 집중한다. 그에게 바느질 행위의 매개인 실은 스스로와의 소통이자 타자와의 연결 통로이며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다.
그는 “화면의 전면과 뒷면을 분주히 왕래하며 쌓여가는 실의 집적은 내면 또는 주변과 소통하며 삶을 이어주는 생명과도 같은 시간의 축적으로 이해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오랜 작업 과정을 통해 겹겹이 쌓아 올린 실은 2차원의 평면에서 3차원으로 전진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