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의대 정원 ‘제로베이스’서 재검토... 2월 말까지 합의 가능할까

“복귀 전공의 수련·병역 특례” 정부, 거듭 사과·유화책 제시
‘긍정 vs 불신’ 엇갈린 의료계, 확정 시급… 합의 여부 주목

image
서울 한 의과대학 교실에 가운이 놓여져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겠다고 밝히면서 의정 갈등 해소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히 대입 일정에 따라 2월 말까지 정원이 확정돼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와 의료계 간 협의가 이뤄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의대 정원을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하고 복귀 전공의들에게 수련 및 병역 특례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전공의들에게 거듭 사과하며 의료계의 신뢰를 회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낸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수련 및 병역 특례 방안은 대한의학회, 한국의과대학협회 등 6개 단체가 요청했던 내용을 반영한 것이다. 이는 의료계가 요구해왔던 일부 사안을 수용한 조치로, 내부적으로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반면 정부의 태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불신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일부 사직 전공의들은 “사과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고, 특례 조치가 충분하지 않다는 불만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의료계 내부에서 정부의 유화책에 대한 의견이 아직 정리되지 않아 전공의 복귀 여부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그러나 제한된 시간을 고려하면 논의 지연에 대한 위기감 속에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대 교수는 “논의가 늦어지면 대규모 증원이 기정사실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의료계가 논의에 참여해 적정한 정원 규모를 합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 시내 주요 수련병원 교수 역시 “2026학년도 정원 확정이 가장 시급하다”며 협의 시작을 촉구했다.

 

대한의사협회 신임 집행부는 아직 정부 조치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오는 14일 회장 취임식과 16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입장이 나올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한편 수험생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각 수련병원은 오는 14일부터 레지던트 모집을, 다음 달 3일부터는 인턴 모집을 시작한다. 복귀를 선택한 전공의들은 해당 일정에 맞춰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