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기자 간담회 갖고 시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 쏟아내 "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창출, 공공복지 확충 정책 중점 추진할 것"
김운남 고양특례시의회 의장이 고양경제자유구역의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직격했다.
15일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김 의장은 지역화폐(고양페이), 공립 작은도서관, 경자구역 지정 추진 등 시 주요 정책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는 한편 올해 시의회는 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창출, 공공복지 확충 등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고양시가 유일하게 지역화폐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데 이어 공립 작은도서관 폐관으로 주민들의 독서와 문화활동에 큰 불편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 의장은 특히 이동환 시장의 핵심사업인 고양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될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작심 비판했다.
그는 경자구역 지정이 고양시의 행정적 지위와 경제적 잠재력을 높이는 중요한 기회라는 점에서 전적으로 동의하며 꼭 지정되기를 희망한다면서도 현실성 있는 계획을 기반으로 지역주민들과 합의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경기도 주무부처와 지역주민들 모두 500만평은 너무 넓고 100만평이 적당하다는 목소리가 있다. 일단 100만평이라도 지정되고 난 후에 더 늘려나가면 될 일”이라며 현재 시가 추진하는 계획으로는 지정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아울러 그는 경자구역 지정 신청이 계속 늦춰지는 게 경기도 탓이라는 이동환 시장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자금조달 근거 부족 및 농업진흥구역 해제 방안 마련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김 의장은 시 정책을 비판하면서도 시 집행부와 시의회가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소통의 기반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협치를 해야 한다는 점 역시 강조했다.
언제든 이 시장과 허심탄회한 논의를 통해 시민행복과 고양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갈 준비가 돼 있다고도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장은 “경제적 도전 속에서 고양시의회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회복을 위해 더욱 책임감 있는 의정활동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