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외형과 그 아래 맥동하는 일렁임, 머무름, 스러짐의 기록...갤러리위 '정윤영: 초록 아래'

image
정윤영 作 ‘이른 봄의 붓꽃처럼’. 김보람기자

 

‘사는 것, 우리를 살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연약한 듯 보이지만 여린 싹이 움틀 때 찢어지듯, 포효하듯 터져나오는 ‘식물’의 강인한 이면을 통해 이 같은 질문에 답하는 작가가 있다.

 

용인 갤러리위에서는 생명의 외형과 그 아래 맥동하는 일렁임을 기록한 정윤영 작가의 초대전 ‘초록 아래’를 선보이고 있다. 정 작가는 지난해 국제청년예술가협회가 주최하고 갤러리위가 주관하며 한국미술협회가 후원한 ‘2024 YOUNG ARTIST CONTEST’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이에 갤러리위에서는 올해 첫 기획전으로 정 작가의 작품 38점을 펼쳐보인다.

 

동국대에서 불교미술을 전공하고, 국민대 석·박사 과정에서 서양 회화를 전공한 정 작가는 불교미술과 서양 회화를 접목한 독특한 작품 세계로 주목받고 있다. 캔버스가 아닌 반투명한 비단 위에 쌓아 올린 작업엔 한국의 전통적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고민이 녹아있다.

 

image
정윤영 作 ‘검정을 노랑으로 칠하고’. 갤러리위 제공

 

이번 전시는 선명하고 밝은 색채와 부드러운 생동감을 전해주는 선적인 리듬이 조화를 이룬 추상화가 주를 이룬다. 특히 절개된 꽃의 단면, 잎의 줄기 등 식물 이미지가 담겨 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그의 대표작 ‘이른 봄의 붓꽃처럼’이 단번에 눈을 사로잡는다. 가로 10m, 세로 2m 규모의 대작이다. 작가는 지난 봄 피었던 붓꽃을 드로잉과 사진 등으로 기록해 뒀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회화 작품으로 옮겨왔다. 겨울에도 우직하게 살아내는 붓꽃은 주로 봄에 꽃을 피우지만 짧은 수명 탓에 이내 시들고 만다. 작가는 붓꽃을 통해 ‘절망의 아름다움’, 동시에 ‘봄을 기다리는 희망’을 녹여냈다.

 

정 작가는 지난한 투병을 통해 생명의 유한함을 뼈저리게 체험했다. 이에 생명에 대한 갈망과 애착, 생명의 지속을 위한 성찰 등은 작가의 작업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한편으론 불완전한 생의 단면, 상실과 결여로 얼룩진 미완의 상태를 담아내기도 한다. 형체가 없고 빛깔도 뭉개진 작품들이다.

 

image
정윤영 作 ‘나의 붉은 꽃에게’. 갤러리위 제공

 

전시장에 놓인 ‘나의 붉은 꽃에게’, ‘갓 터진 보라’ 역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지만, 식물을 떠올리게 그렸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식물의 동물적인 부분을 형상화했다. 또 신체의 일부가 연상되기도 한다. 작가는 인간 존재의 불완전함에서 오는 위기의식을 뭉개지고 유동하는 형상으로 표현했다.

 

전시에선 식물이 초록 빛을 내기까지의 생장 과정, 생명력과 역동성 등을 담은 ‘초록의 끝에서’, ‘검정을 노랑으로 칠하고’, ‘테’ 등을 만날 수 있다.

 

정 작가는 “작품엔 순응과 저항 사이의 미묘한 상태, 있는 그대로의 생명의 흔적을 담아냈다”며 “전시를 통해 여려보이는 겉모습일지라도 그 안에는 엄청난 힘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길 바란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전시를 봐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다음 달 28일까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