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해보다 긴 올 설 명절 연휴 동안 장기간 집을 비우거나 외출하는 가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절도 및 화재 등 사건·사고에 대한 예방 대책은 필수다.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설 연휴에 전국에서 접수된 절도 사건은 총 2천866건으로, 하루 평균 약 160~190건 가량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는 절도 신고가 하루 평균 507건이 접수돼 2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설 연휴에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541건으로, 이 기간 20명이 사망하고 55명이 화상과 연기 흡입 등으로 다치는 등 사고도 적지 않았다. 음식 준비 등으로 집 안에서 화기 사용이 많아지는 명절인만큼 주택 화재에 대비한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 집 비울 때 문 잠그고 우편물 방치 주의해야
먼저 절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사전에 몇 가지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외출 시에는 창분과 현관문을 반드시 잠그고, 잠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 현관문과 창문에 이중 잠금장치를 설치하면 보안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우편함에 쌓인 우편물은 도둑에게 집이 비어 있다는 신호가 될 수 있어 장기간 외출할 경우 이웃이나 친척에게 우편물을 수거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
가능하면 가정용 CCTV나 스마트 홈 보안 시스템을 설치해 외출 중에도 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집 안 조명을 타이머 기능으로 켜놓으면 외부에서 집이 비어 있지 않게 보일 수 있다.
평소 이웃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면 명절 동안 서로의 집을 주기적으로 살펴보는 것도 절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경찰청은 이번 설 연휴기간 ▲주요 범죄나 안전사고 발생 장소 및 취약 지역 현장 점검 ▲지역경찰과 기동순찰대를 중심으로 한 순찰 강화 ▲다중운집 대중교통시설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안전 관리 등에 나서기로 했다.
■ 화재 예방 위해 '가스 밸브 잠그기·전기 차단' 필수
화재를 막으려면 집을 비우기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 우선 가스 밸브를 잠그고,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뽑아 화재 위험을 줄여야 한다. 특히 멀티탭을 사용 중이라면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코드는 뽑아놓는 것이 좋다.
주방기기도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다. 음식 조리 중에는 자리를 비우지 말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가스레인지와 전기레인지를 꺼야 한다. 기름을 사용하는 요리를 할 때는 불이 튈 수 있으므로 불이 번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무엇보다 가정마다 소화기를 비치해 비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상치 못한 화재로 인한 재산 손실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미리 화재보험 가입을 검토하는 것이 좋다.
소방청은 설 연휴 화재 위험에 대비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달 2일까지 비상응소 태세 유지 ▲숙박시설·찜질방 등 다중이용시설과 쪽방촌·반지하 주택, 요양병원, 전통시장 등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화재안전조사 및 예찰활동 등을 실시한다.
■ 정부, 설 연휴 24시간 비상대응체계 운영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 긴 이번 연휴를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보낼 수 있도록 24시간 상황관리를 강화하고,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재난·안전사고에 철저히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각 부처별, 분야별 대책이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우선 행정안전부는 연휴 기간 24시간 상황관리를 강화하고,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재난·안전사고에 철저히 대비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응급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사회 취약계층 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귀성·귀경으로 많은 국민이 동시에 이동하는 만큼 도로·철도·항공 등 교통분야 안전관리를, 농림축산식품부는 대규모 이동으로 인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하지 않도록 방역에 총력을 기울인다. 이밖에도 각 관계기관에서는 소관 분야 안전관리 대책을 빈틈없이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정부는 안전하게 설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재난·사고 상황 관리 체계를 빈틈없이 유지 하겠다"며 "연휴 기간 재난·사고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을 준수해 가족, 이웃과 함께 편안한 명절을 보내길 바란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