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자신의 한계 깨고 새로운 정치 비전 내놔야”
비명계 모임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의원은 3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자신의 한계를 깨고 새로운 정치 비전을 내놓으면서 자신에 대한 회의론을 잠재울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양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대표가 기득권을 등에 업고 당내 대권주자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며 “그런데 최근 탄핵 정국에서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정권교체가 가능하겠느냐는 회의론이 점차 확산하는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이 대표는 그동안 간판처럼 내세웠던 ‘기본사회’ 시리즈를 보류하는 등 진보적 정책을 실용주의 노선으로 바꾸고, 포용, 통합행보에 나서고 있다”며 “하지만 갑작스러운 정책 기조 변화에 국면 돌파용이 아니냐며 진정성을 의심하는 여론이 적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는 “무엇보다 이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가 민주당 정권교체에 발목을 잡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과 탄핵 정국에서 정치적 자멸의 상황에 처해있는데도 유권자 다수가 이 대표에게 선뜻 지지를 보내지 않는 것은 지지도만큼 높은 비호감도 때문이라고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양 전 의원은 “근본적인 문제는 이 대표에게 있다. 그가 대통령이 된다고 해도 나라가 과연 지금보다 나아질 것인가에 대해 많은 국민이 아직 회의적”이라며 “또한 윤 대통령 시절 드러난 제왕적 대통령제 폐해와 적대적 양당 구조를 혁파하기 위한 개헌 논의에 소극적인 점, 진영으로 갈가리 찢긴 국민 대통합을 해낼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고 적었다.
양 전 의원은 “이 같은 회의론 때문에 당내 비명(비이재명)계 대선주자들이 연일 이 대표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며 “이 대표의 독선적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다양성과 민주성을 바탕으로 하는 역동적인 민주당이 돼야 한다. ‘이재명의 민주당’이 아니라 ‘민주당의 이재명’이 돼야 정권교체가 가능하다는 얘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이 대표가 민주당을 어떻게 통합하고, 국정의 대안 세력으로서 어떤 비전을 제시할지가 정권교체의 성패를 가를 관건이 될 것”이라며 “국민은 더 이상 말뿐인 정치에 호응하지 않는다. 정권교체란 단지 정권을 바꾸는 데서 그치지 않고, 위기에 처한 나라를 정상화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혁신적으로 설계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