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학생 10명 중 9명이 행복기숙사 건립을 찬성(경기일보 2024년 12월6일자 7면)함에 따라 인하대에서 기숙사 확충사업에 나서고 있지만, 해당 사업이 반쪽짜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6일 인하대에 따르면 인하대는 오는 2027년 3월까지 862억원을 들여 지하 1층~지상 15층, 총 1천794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행복기숙사를 건립할 예정이다.
당초 인하대는 현재 기숙사 학생 수용률이 12.6%에 지나지 않은 데다 학생들이 기숙사 확충을 요구, 이를 21.9%로 끌어올리기 위해 이 사업을 시작했다. 전국 대학들의 기숙사 학생 수용률 평균치(23.5%)의 근사치까지 비율을 높인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하대는 행복기숙사를 짓되 기존 기숙사(웅비재)는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대학 인근 지역 주민들의 기숙사 확충 반대 운동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기숙사를 새로 지어도 학생 수용률은 4.1% 늘어난 16.7%에 그친다.
기존 인하대 웅비재는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1천18명의 학생들이 생활해 왔다.
앞서 지난 2024년 7월 인하대가 새로이 행복기숙사를 짓기에 나서자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벌어졌다. ‘원룸 공실 증가’와 ‘상권 침체’가 이유였다. 갈등이 이어지고 인천시까지 중재에 나서자 인하대는 기숙사 확충이 아닌 새 건물 교체로 물러섰다.
기숙사 신축이 사실상 기존 기숙사를 대체하는 방식에 그치게 되자 학생, 교수 등 학교 구성원들은 반발하고 있다. 낮은 기숙사 학생 수용률이 개선되지 않는 등 반쪽짜리 사업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인하대 재학생 A씨(22)는 “학교의 주인인 학생들 의견은 뒤로 한 채 원룸 건물주 등의 입장만 고려한 졸속 합의”라며 “과연 학교가 기숙사 수용률을 더 높일 수는 없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당초 인하대 행복기숙사 건립에 적극적이었던 교수회도 이번 합의에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차택근 인하대 교수회장은 “경제적인 이해관계로 인해 이렇게 합의한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학생들과 교수들이 모두 기대했던 사업인데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어 “혹여나 이번 합의가 앞으로 있을 다른 사업에도 선례가 될 것이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인하대 관계자는 “기숙사 사업을 조속히 마무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더 나은 선택이었다”며 “주민들과의 갈등이 길어지면 공사비 증가와 사업 지연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번 합의를 택했다”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인하대 기숙사 학생들, 행복기숙사 신축 찬성 압도적…“학교가 적극 나서야”
https://kyeonggi.com/article/20241205580059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