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과천 지식 정보타운, 공영 주차장 조성 묘안 찾아 내야

김형표 경기일보 지역사회부 기자

image

님비(NIMBY)는 ‘Not In My Back Yard’의 약자다. 우리말로는 ‘내 뒷마당에는 안 된다’라는 뜻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내 혐오시설 입주를 반대하는 현상으로 공동체 의식 결여와 개인주의가 팽배해지면서 나타난다.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과천 과천지구(3기 신도시)가 발표되면서 하수처리장 부지 위치가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국토부는 지구계획 수립 당시 과천지구에 하수처리장 부지를 지정했는데 서울 서초구 주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하수처리장 위치가 서초구와 가깝다는 게 이유였다. 서초구의 반발로 과천지구와 주암지구 택지개발사업이 3년여간 중단되는 위기를 맞았다. 다행히 지난해 하수처리장 위치가 조정되면서 과천·주암지구 택지개발사업은 재개됐다.

 

하지만 3년간 개발사업이 중단되면서 국가적으로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낭비된 데다 주암지구에서 대토사업을 추진해 온 토지주들은 금융이자 등으로 현재까지 수백억원의 피해를 보고 있다. 하수처리장 건설 문제로 큰 피해를 입은 셈이다.

 

현재 과천시는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 내 공영주차장 설치 문제로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시는 과천지식정보타운의 대중교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마을버스 15대를 증차하고 갈현동 167-1번지 일대 부지 1천여㎡에 마을버스 공영주차장 설치계획안을 발표했다. 시는 애초 공영주차장은 지상에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인근 주민들의 불편을 감안해 지하화로 바꿨다.

 

하지만 주민들은 아파트 인근에 쓰레기소각장이 있는데도 30여면 규모의 버스주차장 설치는 또 다른 혐오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며 특히 버스 통행량 증가로 인한 교통 체증은 물론이고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의 안전에도 문제가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공영주차장 설치사업은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도 밟지 못하고 있다.

 

혐오시설이나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장 먼저 지자체와 주민 간 소통이 이뤄져야 한다. 주민설명회를 열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합의점을 찾는 게 중요하다. 인센티브 부여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주민들도 기피시설 설치를 막는 데 급급하기보다는 상생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시는 앞으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주민 불안을 해소하고 교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묘안을 찾아내길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