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가 2028년까지 벽제·일산 하수처리시설(수질복원센터)을 대대적으로 정비키로 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일산테크노밸리·창릉신도시 조성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6일 시에 따르면 2007년 준공된 벽제하수처리시설인 수질복원센터는 하수 유입량 증가와 시설 노후화 등으로 현재 가동률이 94%까지 늘어나 효율적인 운영이 어려운 상태다.
이에 시는 안정적인 수질 처리를 위해 하루 3만9천200t인 하수처리 용량을 4만8천200t으로 확대하는 증설사업을 2028년까지 진행하기로 했다.
이 사업에는 국·도비 80억원과 민간 투자비 180억원을 포함해 모두 460억원이 들어가며 손실과 이익을 민간 사업자와 분담하는 손익공유형 민간투자 사업(BTO-a) 방식으로 다음 달부터 시행된다.
시는 벽제수질복원센터를 전면 지하화해 악취 문제를 해소하고 상부 공간은 주민 친화적 시설로 조성해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중 수질 복원센터 고압 전기시설물 전체에 자동 소화설비 장치를 설치해 화재를 예방할 방침이다.
지역 전체 하수량의 약 60%를 처리하는 일산수질복원센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1993년 준공돼 시설이 낡아 총 3단계에 걸친 시설개량 사업으로 하수처리 성능을 개선하기로 했다.
지난해부터 침전물 및 수처리시설을 개선하는 1단계 공사가 시작돼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현재 27%가량 진척됐다.
공사가 끝나면 유입 하수 상황을 고려해 송풍기·농축기 증설, 펌프 개량 등 2, 3단계 사업을 추가로 진행해 수처리시설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시설 개량이 끝나면 일산테크노밸리와 고양방송영상밸리 개발 등으로 늘어나는 고농도 하수 추가 유입에도 안정적인 하수처리가 가능해지고 운영비 절감 등 예산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환 시장은 “기존 하수처리시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일산테크노밸리, 창릉신도시 등 도시개발 수요에 맞는 하수처리시설 신·증설을 신속히 추진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더욱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