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시설 1명당 150여명분 조리 짠 임금·고강도 업무 등 근로 조건에 공고에도 지원자 없어 자원봉사 의존 市 “인력 지원 확대·예산 확보 노력”
인천 노인복지시설들이 조리사를 채용하지 못해 식당 운영을 중단하거나 자원봉사자들에 의존하는 등 어르신 급식 지원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 조리사에 대한 처우가 열악하기 때문인데, 지자체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군·구 노인복지관은 26곳이다. 이들 기관은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무료~4천원 정도의 싼 가격에 급식을 제공한다.
그러나 노인복지시설들이 조리사 채용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자원봉사자 등이 주방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중구노인복지관은 지난 2022년 7월부터 2023년 9월까지 22차례 채용공고를 올렸지만 지원자가 없었다. 다른 업무의 직원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조리사 역할을 대신해야 했다. 이 후 수차례 더 공고를 한 뒤에야 겨우 채용을 마칠 수 있었다.
부평남부노인문화센터도 조리사 채용을 못해 지난 2024년 8월 3주간 급식 운영을 중단해야만 했다. 계양구 한 노인문화센터 역시 지난해 12월 조리사 채용공고에도 지원자가 없어 자원봉사자와 인천시사회복지대체인력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겨우 급식 제공을 이어나갔다.
한 노인복지시설 채용 담당자는 “조리사 채용 공고를 여러 차례 올렸지만 지원자가 아예 없다”며 “급식을 중단하는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면 자원봉사자 등 외부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사회복지 업계에선 낮은 임금과 높은 업무 강도, 불안정한 고용 조건 등으로 노인복지시설이 조리사들로부터 외면 받는다고 본다. 인천지역 상당수 노인복지시설의 조리사는 1명이지만 많게는 150명 이상 어르신의 음식 조리와 설거지 등을 맡아야 한다. 급식 인원이 31~180명이면 2명을 배치하는 인천시교육청의 학교급식 조리실무사 배치 기준과 비교해도 업무 강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셈이다. 또 급여는 각 지자체 생활임금(1만1천원대)으로 계산돼, 5시간 근무 기준 월급이 140여만원 수준에 그친다.
인천 한 노인문화센터장은 “많은 조리사들이 지원하도록 정규직 고용 등 처우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며 “노인복지시설은 정규직 정원이 적은 데다 예산도 부족해 자체적으로 조리사 처우를 개선하기 어렵다. 인천시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조리사 인력 지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를 위한 예산 확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