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관광공사·중구 ‘활성화 TF’ 구성 공간 운영 용역·콘텐츠 발굴 등 본격 나서 제물포 르네상스·주변 관광지 연계도 모색 내항1·8부두 재개발 사업과 시너지案 마련
제물포 르네상스의 마중물 사업인 상상플랫폼이 민간사업자의 해지 통보(경기일보 2월17일자 3면)로 운영난에 허덕이는 가운데 인천시가 관계 기관들과 태스크포스(TF)를 꾸린다.
23일 시에 따르면 최근 ‘상상플랫폼 활성화 TF 구성·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인천관광공사, 인천 중구청 등과 함께 상상플랫폼 활성화에 나선다.
이번 TF는 시 관광마이스과를 중심으로 회의를 하고, 관광공사는 오는 3월 초께 ‘상상플랫폼 공간 운영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과 콘텐츠 발굴 운영 등을 맡는다. 또 인천 중구청은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 방안을, 시 글로벌도시국은 상상플랫폼과 내항1·8부두 재개발 사업 간 연계 방안 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상상플랫폼은 시가 1천억원을 들여 조성했음에도 특화 콘텐츠 등의 부실로 시민들에게 외면 받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시는 지난 1978년 만들어진 낡은 곡물 창고를 리모델링해 지난 2024년 7월 상상플랫폼으로 개관했다. 이후 미디어아트를 전시하는 뮤지엄엘 전시관 3곳과 베이커리 카페 2곳, 사후면세점 1곳 등이 들어섰다.
그러나 행사가 없는 평일에는 사람 1명 볼 수 없을 정도로 찾아오는 관광객이 적고, 카페나 식당 역시 손님이 없다는 지적이 꾸준히 이어졌다. 특히 올해 1월 말께는 상상플랫폼의 1~2층 복합문화공간 뮤지엄엘을 위탁 운영하는 LG헬로비전이 수익을 내지 못해 관광공사에 계약 해지를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3~4층 식음료 매장을 위탁 운영하는 월미하이랜드도 적자로 수억원의 임대료를 관광공사에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상상플랫폼이 그동안 관람객이 적고, 콘텐츠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해 TF를 구성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위탁 운영 중인 LG헬로비전이나 월미하이랜드 등의 민간사업자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 대안을 찾을 계획”이라며 “관광공사의 연구 용역을 토대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