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부터 단계별 평가등급 상향 계획 추진…청렴서약서, 청렴구호, 교육 강화 등
지난해 종합청렴도 최하위 등급을 기록한 고양특례시의회가 청렴도 높이기에 나선다.
고양시의회는 청렴의회로 도약하기 위해 오는 3월부터 종합청렴도 평가 등급 상향을 위한 계획을 단계별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청렴서약서 작성 및 선서에 이어 청렴구호를 공모하고 시의원 대상 청렴 및 행동강령 교육을 강화한다.
이처럼 시의회가 종합청렴도에 ‘올인’하는 이유는 지난해 12월 국민권익위원회가 공개한 2024년도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전년도보다 한 단계 더 추락해 가장 낮은 5등급을 기록한 탓이다.
75개 기초시의회 중 종합평가 5등급을 기록한 건 고양시를 포함해 8개뿐이다.
권익위의 청렴도 평가는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한 ‘청렴체감도’와 청렴정책을 평가한 ‘청렴노력도’를 각각 80%, 20% 반영해 이뤄진다. 여기에 실제 부패사건이 발생한 경우 최대 10%까지 감점해 최종 종합평가 등급을 산출한다.
고양시의회는 청렴체감도에서 2023년에 이어 5등급을 기록했고 청렴노력도는 4등급으로 1단계 하락했다.
시의회 관계자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원 구성 등 시의회 안팎의 갈등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시민들의 평가가 좋지 않은 게 원인인 것 같다”며 “의회 사무국은 교육을 강화하고 상급기관이 권고하는 조례안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무엇보다도 시의원 개개인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고양시의회는 하반기 원 구성을 두고 반년 넘게 여야가 대립 중이고 시 집행부와도 사안마다 네 탓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행정감사에서는 고양시공무원노조가 상생하자며 준비한 간식 꾸러미를 거부해 관계가 틀어졌다. 김모 시의원과 노조 간부들은 고소·고발전을 펼치는 한편 시의회 건물 곳곳에 서로를 비난하는 현수막을 부착하는 등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김운남 고양특례시의회 의장은 “청렴은 단순한 목표가 아닌 의회 운영의 핵심 가치”라며 “청렴도 개선을 위해 의원 및 직원 대상의 청렴교육 강화, 이해충돌 방지제도 이행 강화, 의정활동의 투명성 제고 등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