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발생 후 매뉴얼 강화했지만 재발방지 ‘헛구호’ 실속 대책 절실 4년간 도내 공사장 사망 79% ‘추락’ 안전 수칙 준수 ‘관리·감독’ 필요
지난 25일 안성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각 붕괴로 인해 근로자들이 추락,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그동안 정부가 사고 발생 시마다 내놓았던 안전대책들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다.
참사 후 정부가 건설 현장의 매뉴얼을 고치거나 안전 관리를 강화하지만 현장에선 추락사고가 반복되고 있어 명확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경기도내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228명이다. 이는 도내 전체 건설 현장에서 사고로 인한 사망자(288명)의 79.1%에 달한다.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반복될 때마다 정부는 안전 대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 2022년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건설현장 사고를 계기로 표준시방서 활용 민간 확대 등 부실시공 근절 방안을 시행했다. 이후 2023년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붕괴 사고가 발생, 수사 및 감사 과정에서 감독 부실 등이 드러났고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와 올해 역시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끊임 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3월 용인시 처인구의 한 주택 건설 현장에서 60대 남성이 개구부에 거푸집을 고정하다가 5m 아래로 추락, 사망했다. 또 올해 1월5일 오산의 한 신축공사 현장에선 60대 남성이, 지난 6일 평택의 평화 예술의전당 건설 현장에선 50대 남성이 떨어져 숨지기도 했다.
이번 안성 서울세종고속도로 사고 당시 붕괴는 교각 위에 올려진 이른바 '거더' 6개가 옆으로 밀리면서 시작됐다. 그 위에 올려진 런처라는 장비를 옮기는 작업을 하던 중 사고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런처 고정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건설 현장에서 준수해야 할 새로운 안전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지만 기존 대책들마저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의 사고 예방에 큰 기대를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학부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건설 현장의 안전 매뉴얼은 완벽에 가깝다. 하지만 현장에선 근로자들이 편의 등을 이유로 안전 수칙을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사고는 시공이 올바르게 됐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많은데, 이를 철저하게 밝히고 현장에서 안전 수칙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관리 및 감독도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