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행 "반도체 근로시간 인가… 특별연장근로 보완"

특별연장근로 1회당 인가 3개월에서 6개월 확대
"민생·경제 대응플랜으로 내수·수출·일자리 개선"

image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12일 “장기간 연구·개발(R&D)이 필요한 반도체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특별연장근로 인가 제도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반도체 산업의 치열한 기술 경쟁에서 앞서나가기 위해서는 핵심 인력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이 절실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여야가 반도체특별법에서 주52시간 예외 조항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는 가운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최 대행은 "근로 시간 특례 규정이 반도체특별법에 포함돼야 하지만, 여야 간 입장차이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다"며 "이에 정부는 기업들이 필요시 근로시간을 더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특별연장근로 인가 제도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특별연장근로의 1회당 인가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는 특례를 신설할 예정이다.

 

최 대행은 "특별연장근로 재인가 신청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건강검진 의무화 등 근로자 건강권 보호조치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 대행은 "내년에는 '정부 R&D 30조원 시대'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 연구개발의 열기를 확산시켜 나가겠다"며 "특히, AI, 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분야와 반도체, 차세대통신, 모빌리티 등 국가전략 분야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AI를 활용해 정부 R&D 사업도 혁신하겠다"며 "신약, 신소재 등 8대 고난도 연구 분야의 AI 모델을 개발하고, 재난·범죄예방을 위한 안전기술 개발에도 AI를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