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의 기습적인 기업회생 절차 추진으로 개인 및 기관 투자자를 비롯해 국민연금까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기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대표이사가 고려아연 이사회에 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광일 부회장은 오는 28일 열리는 고려아연 정기주주총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MBK파트너스는 총 17명의 신규 이사 후보를 추천하며 고려아연 이사회 진입을 추진 중이다. MBK가 이사회 과반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김 부회장은 다른 후보들보다 우선적으로 선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홈플러스 사태로 인한 피해 규모가 예상보다 클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의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경영 정상화에 집중하기보다 다음 투자에 몰두하는 모습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MBK가 기업 인수를 위해 차입을 활용하고, 그 부담을 기업에 전가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온 결과, 홈플러스는 법정관리 신청에까지 이르렀고 MBK의 경영 능력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MBK가 상당한 운용 수익을 거뒀다는 의혹까지 더해지면서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확산되고 있다. 김 부회장이 이미 국내 18개 기업에서 기타비상무이사 등의 직책을 맡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과도한 겸직이 경영 악화를 초래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려아연 이사회까지 참여하려는 행보를 두고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
현재 김 부회장은 홈플러스 대표이사를 비롯해 딜라이브, 네파, 엠에이치앤코, 롯데카드, 오스템임플란트 등에서 등기임원을 맡고 있으며, 해외 기업까지 포함하면 그 숫자는 더욱 늘어난다. 이러한 ‘문어발식 겸직’이 기업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도 올해 1월 김 부회장이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추천되자 "과도한 겸직으로 인해 충실 의무를 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며 선임안 반대를 권고한 바 있다.
MBK의 경영 방식에 대한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오는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 질의에서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등 5인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홈플러스 사태와 MBK의 경영 방식에 대한 질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 사태의 피해가 예상보다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금융감독원은 최근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 2곳에 대한 검사를 착수했다. MBK 역시 조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지난 11일부터 MBK에 대한 세무조사에 돌입하면서 파장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MBK의 경영 실패로 인해 인수 기업들이 심각한 재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선진 경영’을 내세우며 고려아연 이사회 진입을 시도하는 모습은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