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LH, ‘시민 혼잡 최소화’ 총력
개통을 3개월 앞둔 인천 서구 ‘검단호수공원역’ 주변 연결도로가 전무(경기일보 13일자 1·3면)해 시민 불편이 우려되는 가운데, 인천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역사 인근에 약 1.7㎞ 규모의 임시 도로를 설치한다.
16일 시와 LH 등에 따르면 최근 인천도시철도(지하철) 1호선 검단연장선의 종점인 검단호수공원역에서 인근 주택단지까지 약 1.7㎞ 규모의 임시 도로 및 보도 설치에 합의했다. 공사비는 약 40억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앞서 시는 LH에 약 4.8㎞ 길이의 도로를 만들 것을 요구했으나, LH는 개통 시기에 맞춰 최소한으로 조성할 수 있는 임시 도로 규모를 검토해 이날 확정했다. LH는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맞춰 다시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을 해야하는 만큼, 임시도로 철거 등은 불가피해 예산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
LH는 우선 검단연장선이 개통하는 오는 6월까지 검단호수공원역 출입구로부터 20m 앞에 끊겨있는 왕복 6차선 도로를 연결, 신검단중앙역(102역)에서부터 검단호수공원역으로 올라오는 구간(360m)을 잇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신검단중앙역에서 검단호수공원역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도로가 없고, 일대도 펜스 등으로 막혀있어 지하철이 개통해도 원당지구에 사는 주민들은 지하철을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LH는 또 검단호수공원역부터 인근 검단신도시 아파트(검단로 744까지)를 중심으로 왕복 4차선의 도로(1.36㎞)도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접한 불로지구 주민들이 지하철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다.
여기에 버스노선이 없는 검단호수공원역과 일대 원도심을 순회할 수 있도록 아이모드(I-MOD) 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아이모드 버스는 승객이 원하는 버스정류장으로 차량을 호출하면 버스노선과 관계없이 가장 빠른 경로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수요응답형 버스다. 현재 검단신도시 내부 및 인근 정류장(계양역·완정역·독정역) 등 8.5㎞를 운행하고 있다.
시는 인천도시공사(iH)와의 협의를 통해 오는 6월까지 운영 예정인 아이모드 버스를 연장 운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LH 관계자는 “시공사인 쌍용건설과 지하철 개통 전까지 협의한 구간의 도로 설치를 마무리하는 것으로 이야기했다”며 “기간 안에 도로를 완성해 주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서두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오는 6월 개통을 목표로 아라역(101정거장)과 신검단중앙역(102정거장), 검단호수공원역(103정거장) 등을 신설해 인천지하철 1호선 계양역(인천1호선)에서 검단신도시(서구 불로동)까지 6.825㎞를 연장하는 검단연장선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종점인 검단호수공원역 일대에는 도로나 인도가 없어 버스조차 다니지 못하는 등 정작 지하철 개통이 이뤄져도 주민들의 이용이 불가능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 관련기사 : 개통 3개월 남았는데… 인천 검단연장선 연결도로 '전무'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12580350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