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지원청 등 학교 현장 지원역할 강화... 성과평가제도 질적 개선 함께 추진
경기도교육청이 증거기반 정책 실행을 위해 부서 정책 평가를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한다.
18일 도교육청은 이날 오전 남부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 경기교육 증거기반 본청 정책평가·기관평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도교육청은 본청 정책에 대한 자체평가 개선을 위해 지난해부터 단순 실적 중심의 산출물 평가를 넘어 정책 기대 효과의 교육적 성과까지 평가하는 증거기반 정책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청 주요정책은 현장 실행성 및 효과성을 평가하되, 증거기반에 의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평가를 통해 평가항목의 세부 평가기준별 배점 평가 및 정량 및 정성평가를 통한 절대평가로 평가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증거기반 정책평가 도입으로 ▲학생 인성검사 결과 사전-사후 변화도 ▲기초학력 부진학생 해소율 ▲지속가능발전 실천 역량 지표 향상도 ▲아이비(IB) 수업-평가 실천 학생의 수업 만족도 등 교육정책의 현장 실행성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지표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결과가 나타냈다.
이에 따라 올해 본청 정책평가는 지난해 시행한 부서별 주요 정책평가와 함께 각 부서의 모든 담당별 정책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부서 담당자의 정책 실행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행정기관 평가는 25개 교육지원청, 19개 직속기관을 대상으로 모든 학생이 기본 인성 및 기초 역량을 보장하고 학교현장 지원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올해는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도교육청 주관 연수 운영 ▲조직개편 방향과 경기교육 기본계획에 근거한 평가지표 재구조화 ▲기관별 맞춤형 컨설팅 확대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경기교육 정책 방향에 부합하고 학교 현장을 지원하는 기관평가 운영으로 학교 교육력 제고를 도울 방침이다.
또한 부서별 정책평가·교육행정기관 평가와 지방공무원 성과 연계 강화에 중점을 두고 성과평가제도의 질적 개선을 함께 추진한다.
서혜정 도교육청 정책기획관은 “지원 학교수, 예산 등 가시적 부분보다 어떤 형태의 수업이 됐는지, 학생은 만족했는지를 측정하는 방향으로 평가 방향을 바꿨다”며 "경기교육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도록 정도교육청 평가 전반을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