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주종합버스터미널' 폐쇄 수순... 이주훈 시의원,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하라"

이주훈 시의원. 이주훈 시의원 제공
이주훈 시의원. 이주훈 시의원 제공

 

“한때 광주시 교통 허브로 기대를 모았던 터미널이 현재는 대합실조차 불을 끈 채 운영되고 있습니다.”

 

경기광주시의회 이주훈 의원(국민의힘)이 존폐 위기에 놓인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의 운영 실태 및 향후 방향, 그리고 E프라자 내 문화집회시설의 공공성 회복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25일 열린 제315회 광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2009년 신설된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현재는 대전·인천공항행 단 2개 노선만 운행하며 사실상 폐쇄 수순을 밟고 있다”며 “터미널의 존립이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만큼 시의 분명한 입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성남 야탑터미널의 경우 폐쇄 이후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재개장한 바 있다”며 “광주종합버스터미널도 무작정 유지하거나 방치할 것이 아니라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또는 타 용도로의 전환 등 현실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E프라자 내 문화집회시설이 본래의 기부채납 목적과 달리 단순 임대수익 시설로 전락한 점도 문제 삼았다.

 

해당 시설은 2007년 건축허가 당시 사업시행자인 광주터미널주식회사로부터 문화교실 및 전시시설 용도로 기부채납받았다.

 

하지만 연 8천400만원의 예산 소모 대비 홍보관 운영의 비효율성 등으로 시정홍보관 운영이 중단된 이후 민간에 장기 임대돼 영화관으로 사용됐지만 현재는 철거가 진행 중이다.

 

그는 “광주시가 마치 임대업자인 것처럼 공공시설을 운영한 전례는 시민 입장에서 납득하기 어렵다. 4월부터 공실이 될 경우 매월 1천만원 이상의 관리비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이른 시일 내 실현 가능한 활용계획 수립과 예산 소요에 대한 구체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시민의 세금으로 유지되는 공공시설이 제 기능을 못하고 방치되거나 수익 위주로 활용되는 일이 반복돼선 안 된다”며 “시장을 비롯한 관계 부서는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시민의 입장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