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다닐 ‘맛’ 나네”…경인여대 새롭게 태어난 학식, ‘인기폭발’

26일 오전10시50분께 인천 계양구 계산동 경인여대 봉아관 지하1층 학생식당 앞으로 학생들이 점심을 먹기 위해 줄을 서 있다. 노재영기자
26일 오전10시50분께 인천 계양구 계산동 경인여대 봉아관 지하1층 학생식당 앞으로 학생들이 점심을 먹기 위해 줄을 서 있다. 노재영기자

 

“5점 만점에 6점이에요. 우리학교 학식은 이제 레스토랑 못지 않아요.”

 

26일 오전 10시50분께 인천 계양구 계산동 경인여대 봉아관 학생식당. ‘오픈런’을 위해 줄을 선 40여명의 학생들이 식당이 자리한 지하 1층 복도를 가득 메우고 있다. 불과 20분 전만 해도 지나는 사람이 없었지만 어느새 물밀 듯이 들어온 학생들은 아직 오지 못한 친구와 통화하며 ‘메뉴를 정하라’며 난리다.

 

김다운씨(유아교육과‧3학년)는 “입학하고 학식 먹겠다고 줄을 선 건 올해가 처음”이라며 “작년까지만 해도 메뉴가 2가지 뿐이고 맛도 없어 끼니 때우는 수준이었는데 지금은 확 달라져 대학 식당 느낌이 물씬 난다”고 평했다.

 

이날 오전 11시40분께 갓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다시 한번 몰려들면서 학생식당 일대는 장사진을 이룬다. 황급히 계단을 내려온 학생들은 길게 늘어진 줄을 보며 짧은 탄식을 뱉는다. 몇몇은 내일을 기약하며 편의점으로 발걸음을 옮기기도 한다.

 

강혜리씨(세무회계학과‧2학년)는 “1년에 1번 올까말까였는데 이젠 주 4일씩 온다”며 “밖에서 파스타 먹으면 1만5천원인데 여긴 7천원으로 가성비가 ‘넘사벽’이고, 전문 요리사가 해 보통 식당에도 꿀리지 않는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새 단장을 마치고 문을 연 경인여대 학생식당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지난 2024년 부임한 육동인 총장이 기존 업체를 내보내고 신규 업체 선정부터 메뉴 구성까지 학생들과 소통해 만들어낸 결과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30분까지 운영하는 경인여대 학생식당은 170석 규모로, 1일평균 이용 학생 수는 600명 가량이다. 리뉴얼 전 단 60여 명이 식당을 찾았던 것에 비하면 10배 늘어난 셈이다. 학교는 폭발적인 인기에 학생식당 옆 70석 규모인 교직원 식당까지 학생들에게 개방했다.

 

한식, 양식, 분식 등 23개 메뉴로 평균 가격대는 4천500원에 불과하다. 800원짜리 어묵부터 가장 비싼 파스타도 7천원 수준이다.

 

지난 2월 학생식당 오픈을 앞두고 교직원들과 학생들이 시식회를 열었다. 경인여대 제공
지난 2월 학생식당 오픈을 앞두고 교직원들과 학생들이 시식회를 열었다. 경인여대 제공

 

학생식당 맛의 비약적인 발전 비결은 ‘소통’이다. 학생처와 사무처가 나서 인근 대학부터 서울 종합대학까지 학생식당 업체를 뒤졌고, 지난 1월 학생대표들이 함께한 자리에서 평가회를 열었다. 업체 선정 뒤에도 시식회까지 열어 학생들 입맛을 세심하게 배려했다.

 

채만진 경인여대 총무팀 직원은 “이번 업체는 평가회에서 여학생들이 즐겨 먹는 맞춤형 메뉴를 가져와 학생들에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며 “식당을 열기 전 입맛을 맞추기 위해 5성급 호텔에서 일했던 셰프가 염도, 당도 등도 꼼꼼하게 체크해 레시피를 구성했다”고 말했다.

 

학교는 매월 식당운영위원회도 연다. 학생들 요구를 수시로 반영해 만족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식당 측도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더하기 위해 직접 사용 만족도 설문조사를 위한 QR 코드를 식당 테이블 정중앙에 부착하겠노라 제안, 맛과 서비스를 평가토록 했다.

 

박정윤 경인여대 사무처 총무팀장은 “지난 4일 개강한 이후 폭발적인 반응이 나와 보람차다”며 “총장께서 손수 학생들과 대화하고 식사하며 소통을 실천한 부분이 변화의 숨은 배경”이라고 귀띔했다. 이어 “지금까지 양질의 학생식당을 만들기 위해 벤치마킹 하러 다녔지만 이제 거꾸로 찾아오는 대학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