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전국 산불재난 국가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면서 경기도내 시·군들이 비상체계 수립에 착수, 긴장감이 돌고 있다.
위기 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된 지자체는 전체 구성원의 4분의 1 이상을 산불 예찰, 초기 대응 인력으로 구성해 비상근무를 전개해야 하기 때문인데 산림 면적이 넓거나 실제 산불이 발생한 시·군을 중심으로 인력 확충과 업무 분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화성, 광주, 가평 등 도내 각 시·군들은 소속 공무원과 공익근무요원에서 비상근무 인력을 차출하는 한편,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산불 예방에 나서고 있다.
가평군은 산지에 펜션과 요양 시설이 다수 분포된 점을 감안, 각 시설에 산불 위험성을 안내하는 공문을 발송하며 현장 안전 점검도 병행 중이다.
화성시는 산불 취약지역을 집중 예찰하는 한편, 주요 등산로 및 산지 등에 화재 예방 안내 방송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는 산림청이 지난 25일 전국 17개 시·도 전역에 산불 위기 경보 ‘심각’으로 발령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경기도 역시 산림 면적은 전국 산림 면적(629만8천134㏊)의 8% 수준이면서 최근 3년간(2022~2024년) 산불 발생 건수는 345건으로 전국(1천596건)의 21.61%를 차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도 파주시 조리읍 야산에서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으며 용인, 양평에서도 산불이 났다가 진화됐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공무원 4분의 1, 공익근무요원으로 비상대기조를 구성, 주말을 포함해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비상근무에 들어가기로 했다”며 “근무자들은 재난문자 발송 빈도 증대, 산불 취약 지역 순찰,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 등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비상 대응 체계 구성도 중요하지만 유사 시 즉각 대응에 나설 수 있도록 조직이 내실 있게 운영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재난상황 발생 시 각 지자체들은 여러 형태의 비상 근무 체계를 띠지만 정작 초기 대응엔 부족한 모습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며 “산불은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취약 지역 예찰, 소화 장비 확충, 즉각적인 인력 투입에 나설 수 있도록 준비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