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홀더 “홈플러스 사태 여파…MBK, 고려아연 인수 출구전략 고민할 때”

소액주주 플랫폼 헤이홀더 홈페이지. 헤이홀더 홈페이지 캡처
소액주주 플랫폼 헤이홀더 홈페이지. 헤이홀더 홈페이지 캡처

 

주주행동주의를 표방하는 소액주주 연대 플랫폼 ‘헤이홀더’가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인수를 시도 중인 MBK파트너스를 향해 “홈플러스 사태로 힘든 싸움을 하게 될 것”이라며 출구전략 마련을 조언하고 나섰다.

 

MBK는 지난달 28일 열린 고려아연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사회 과반 확보에 실패한 데 이어, 홈플러스 관련 사기 의혹으로 금융당국과 공정당국의 전방위 조사를 받고 있어 인수전에 더욱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는 지적이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헤이홀더는 지난 4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2025년 정기주주총회 결산’ 논평을 통해 “MBK 입장에서는 홈플러스 사태로 언론은 물론 여론과 정치권으로부터 질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로 힘든 싸움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제는 고려아연 인수에서 손을 떼고 출구전략을 고민할 때”라고 밝혔다.

 

실제로 현재 금융감독원은 MBK와 그 산하 투자자문사를 대상으로 홈플러스 관련 사기적 기업어음(CP) 발행 및 미공개정보이용 의혹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역시 MBK와 홈플러스에 대해 부당내부거래 의혹으로 현장조사를 벌인 바 있다. 여기에 더해 MBK는 최근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으로부터 세무조사까지 받는 등 국세청까지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헤이홀더는 “이러한 조사 결과에서 불법 행위가 하나라도 드러날 경우, 현재도 불리한 여론 지형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며 “이사회를 장악하려는 MBK의 시도는 앞으로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특히 “현 경영진과의 의결권 확보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주주들이 MBK 측을 지지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홈플러스 사태와 고려아연 인수 시도는 MBK의 자금 운용에도 직격탄이 되고 있다. 핵심 출자자들의 이탈 조짐이 나타나는 가운데, 국민연금은 지난 2월 MBK와의 출자약정 계약서에 ‘적대적 M&A에는 투자금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례적인 조항을 삽입했다.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또한 동일한 조건을 명시한 출자약정을 체결했다.이에 대해 헤이홀더는 “증권사들과도 갈등이 깊어지면서 MBK의 자금줄이 막히고 있다”고 분석했다.

 

헤이홀더는 또 MBK가 주총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가처분 결과를 지켜본 뒤, 고려아연과 임직원은 물론 MBK 자신을 위해서라도 출구전략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처럼 명분도 부족하고 불리한 적대적 M&A를 지속하기보다 실리를 쫓는 편이 낫다”고 조언했다.

 

이어 “소위 ‘사법의 시간’은 매우 장기적인 싸움”이라며 “원하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경영권 분쟁에서 바로 승리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결국 MBK에게는 큰 출혈이 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이러한 상황에서 MBK, 고려아연, 영풍이 함께 출구전략을 논의하는 것이 회사와 임직원,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한편 헤이홀더는 그동안 고려아연 사태에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 현 경영진의 집중투표제 도입에 대해 소액주주 권리 보호 차원에서 지지 의사를 밝혔고, 경영권 분쟁이 격화됐을 당시에는 ‘비전 경쟁으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한 바 있다. MBK가 경영권을 확보할 경우 기술 및 환경설비 투자가 축소될 수 있다며 강한 우려도 내비쳤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