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표류 인천로봇랜드 첫 삽…iH, 인천을 로봇 산업 중심지로 전환

image
인천로봇랜드 전경. 인천도시공사 제공

 

18년간 표류한 인천로봇랜드 사업이 첫 삽을 뜬다.

 

7일 인천도시공사(iH)에 따르면 지난 3월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국책사업인 인천로봇랜드의 기반시설 공사를 시작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에 추진하는 인천로봇랜드 사업(사업비 8천988억원, 면적 77만㎡)은 민선8기 핵심 공약 가운데 하나다. 로봇산업의 기획·연구·생산·테스트·소비가 가능한 국내 최대 규모의 집적시설을 만들어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 및 국내외 로봇기업을 유치, 인천을 로봇산업 중심지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이번 사업은 인천시가 지난 2007년 사업을 추진한 이후 2008년 지식경제부 공모를 통해 인천과 경남이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며 본격 시작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투자 유치가 무산하면서 18년째 표류했다.

 

iH는 지난 2023년 인천시와 공동사업 시행자로 참여하는 신규 협약을 하고, 지난 2024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 및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공동사업 시행 인·허가를 마쳤다. 또 올해 2월에는 특수목적법인(SPC)인 ㈜인천로봇랜드와 기반시설 공사 위수탁 협약을 하며 사업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로봇랜드는 ㈜BS한양, ㈜두손건설과 모두 578억원 규모의 공사 도급을 계약했다.

 

시와 iH는 앵커기업 유치를 위해 IR(Investor Relations) 및 투자유치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재정, 기술, 인력, 행정 및 규제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안에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목표로 산자부 및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이 이뤄지면 수도권 정비계획법 상 규제된 국내 기업 및 공장 이전과 신·증설이 가능해진다. 또 수의계약 및 재산세, 취득세 등의 세제 감면 혜택도 기대할 수 있다. 용지공급은 기반시설공사가 약 50% 이뤄지는 오는 2026년 하반기에 실시할 전망이다.

 

류윤기 iH 사장은 인천로봇랜드는 인간과 로봇이 함께 공존하는 미래 가능성을 실현하는 출발점”이라며 “장기 표류한 국책사업을 정상화시키는 큰 성과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인천이 로봇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 구축부터 기업 유치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