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안동·의성 등 산불 피해 지역 인구 오히려 증가 읍면 관계자 "지원금 발표 기점으로 전입신고 몰려"
최근 산불로 초토화된 영남 일부 지역에서 수상한 전입신고가 급증하며 "재난지원금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TBC 보도에 따르면, 산불 피해가 심각한 경북 영덕에서는 그 다음 날부터 일주일동안 관외 전입이 36건 이뤄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3.6배나 늘어난 수치다.
이는 지난 2020년 9월 이후 53개월 연속 인구가 감소하던 영덕에서 이례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덕은 지난달 25일 밤 발생한 산불로 10명이 숨지고 주택 1천500여 채가 소실되는 등 산불 피해가 큰 지역임에도 인구가 줄지 않은 것이다.
특히 전입신고는 지난달 28일, 경상북도가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 주민 전원에게 1인당 30만 원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시점을 기점으로 몰렸다.
전입신고 된 주소 중에는 산불로 전소돼 사라져버린 집도 있었다.
읍면 사무소 관계자들은 "재난이 발생하면 전입신고가 줄어야 하는데 산불 발생 직후인 다음 날부터 평소보다 더 늘었다"고 말했다.
영덕뿐 아니라 인근 안동과 의성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났다.
안동은 지난 3월 한달 동안 주민등록 인구가 340명 증가하며 5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의성 또한 17개월 만에 15명이 늘었다.
안동의 한 읍면 담당자는 "재난지원금 지급 계획이 보도된 날 오전부터 전입신고가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북은 전입신고 기준일을 3월28일로 정해, 그 이전까지 피해 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이들이 재난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